본문 바로가기
시사

아파트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31

by 척척기술사 2025. 4. 10.
    반응형

    아파트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31가지


    아파트 사전점검은 입주 전 단 한 번, 내가 살게 될 집을 처음으로 직접 확인하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단순히 벽지나 마감재만 훑어보는 수준이 아니라, 하자 유무, 시공 상태, 도면과의 일치 여부, 실생활 문제 발생 가능성까지 점검해야 하는 날입니다. 한 번 놓치면 입주 후 AS 처리도 번거롭고, 생활에 직접 불편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체크리스트와 사전 정보 습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아파트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1. 공통 준비물

    • 평면도, 인테리어 제시도, 옵션 시방서 사본
    • 메모지 + 줄자 + 볼펜 + 카메라(스마트폰)
    • 콘센트 테스트기 or 미니 스탠드
    • 플라스틱 구슬 or 쇠구슬 (바닥 수평 확인용)
    • 작은 스프레이 or 휴지 (창문/방충망 틈새 확인용)

     

    2. 실별 체크 항목

    🏠 현관

    • 디지털 도어록 정상작동 여부
    • 신발장 마감·경첩 상태 확인
    • 바닥 타일 깨짐 or 들뜸 여부

    🏠 거실/방

    • 벽지 시공 균일한가, 들뜸/울음 없는가
    • 천장 코너 실리콘 마감 상태
    • 몰딩, 걸레받이 단차나 이음 틈 확인
    • 콘센트, 스위치 작동 여부 / 위치 정확성
    • 바닥 시트지 or 강마루 들뜸, 긁힘, 꺾임 여부
    • 천장 누수 흔적, 이색 현상 체크

    🏠 주방

    • 상부장, 하부장 열고 닫기, 경첩 흔들림 여부
    • 씽크대 수전 누수 여부 및 수압
    • 싱크볼 배수 잘 되는가 (물 조금 부어보기)
    • 음식물 분쇄기, 전기렌지(옵션 시) 작동 테스트
    • 후드 작동 여부 + 흡입력
    • 콘센트 위치 + 가스차단기 작동 확인

    🏠 욕실

    • 타일 깨짐/벌어짐/곰팡이 흔적
    • 수도꼭지, 샤워기 수압 및 온수 확인
    • 배수구 물 빠짐 확인 (물 붓고 흐름 관찰)
    • 세면대, 양변기 흔들림 여부
    • 거울, 수납장 경첩 상태 확인

    🏠 베란다/세탁실

    • 수도꼭지 작동, 세탁기 배수구 위치
    • 바닥 타일 기울기(구슬 굴려 배수 방향 확인)
    • 난간 고정 상태 및 창문 개폐 여부
    • 외벽 균열 여부

    🚽 시스템/기계

    • 보일러 시운전 여부 확인
    • 환기 시스템 작동 여부
    • 온도조절기, 인터폰 정상 작동 확인
    • 전기 분전함 차단기 상태, 누전차단기 테스트

    🪑옵션

    • 시스템 에어컨, 빌트인 가전, 붙박이장 등 사양서대로 설치됐는지
    • A/S 관련 안내 스티커, 설명서 확인



    사전점검 FAQ

    Q1. 체크하면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해도 되나요?
    → 당연히 가능합니다. 하자나 의심되는 부분은 반드시 사진·영상으로 기록해두세요. 나중에 하자 접수 시 정확한 증빙이 됩니다.

    Q2. 구슬로 바닥 기울기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 쇠구슬이나 작은 탁구공을 놓고 굴렸을 때, 한 방향으로 빠르게 쏠린다면 평탄하지 않은 것입니다. 특히 욕실, 세탁실, 거실 기준으로 확인해보세요.

    Q3. 혼자 가도 되나요?
    → 혼자 가는 것보다 2인 이상 방문이 좋습니다. 한 명은 체크, 한 명은 기록이나 사진 담당. 경험 있는 지인이나 전문가 동행하면 더욱 좋습니다.

    Q4. 현장에서 바로 하자 접수도 가능한가요?
    → 대부분 아파트는 현장에서 전자태블릿 or 서면으로 하자 접수 시스템 운영 중입니다. 즉석에서 접수하거나, 사전점검일 후 2~3일 내 온라인 추가 접수도 가능합니다.

    Q5. 사전점검 때 꼭 확인해야 할 우선순위는 뭔가요?
    → 시간 제한이 있다면 반드시 아래 5가지는 우선 확인하세요.
    1. 욕실 누수 여부
    2. 바닥 수평
    3. 콘센트/조명/보일러 작동 여부
    4. 창문 틈새 및 방충망 마감
    5. 옵션 설치 정확성

    Q6. 하자가 있으면 바로 수리되나요?
    → 보통 입주 전까지 12회 하자보수 기간이 주어지며,
    입주 후에도 하자보증 기간(최소 1년3년, 항목별 상이) 내 수리 요청이 가능합니다.

    Q7. 전문가 대동 서비스도 필요할까요?
    → 비용은 들지만, 처음 입주하는 신혼부부, 초보자라면 1회 정도는 충분히 고려할 만합니다. 단, 비용 대비 수익률은 의견이 갈립니다. “셀프 + 꼼꼼한 기록”만으로도 충분히 하자 방어가 가능합니다.



    결론 요약

    정리하자면, 사전점검은 ‘하자 찾기’가 목적이 아니라, 내가 살 집을 점검하고 이해하는 시간입니다. 체계적인 체크리스트와 기록 습관만 있다면 전문가가 아니어도 충분히 꼼꼼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에 체크리스트를 첨부해두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받아서 쓰시기 바랍니다.

    아파트_사전점검_체크리스트.docx
    0.04MB

     

     

    건설현장 기술자 선임기준/배치기준
    현장대리인
    품질관리자
    안전관리자
    전기안전관리자
    소방기술자
    보건관리자

     

    건설/건축 하자보증기간 총정리🔥
    총정리
    별표3
    별표4
    철골공사
    소방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조적공사
    도장공사
    수장공사
    미장공사
    단열공사
    창호공사
    타일공사
    가전제품
    석공사
    도배공사
    가구공사
    방수공사
    목공사
    지붕공사
    잡공사
    토공사
    포장공사
    지반공사
    설비공사
    물탱크
    전기공사
    통신공사
    홈네트워크공사
    태양광공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