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68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썸네일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오늘은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정하고 있는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기준은 단순한 '권고' 차원이 아니라,입주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입주 전 베이크아웃 등의 조치를 평가하는공식적인 실내환경 지표로 활용됩니다.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이란?신축 공동주택이란,「건축법」에 따라 신축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으로사용승인 이전에 실내공기질을 자율 측정하고, 그 결과를 입주자에게 안내해야 하는 건축물입니다. ※ 「실내공기질 관리법」 제7조, 시행규칙 제4조에 근거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을 준수하는 것은 마치신차 출고 전에 공기질을 측정해서 ‘이 차 타도 괜찮다’는 건강 확인서를 발급하는 절차와도 같습니다.. 2025. 4. 6.
베이크아웃 뜻 썸네일 베이크아웃 뜻 베이크아웃오늘은 건축물에서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주요 초기 처리 과정인베이크아웃(Bake-Out)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개념은 최근 다중이용시설, 학교, 어린이집 등 공공건물 준공 시 필수 항목으로 다뤄지며,건축기계설비와도 깊은 연관이 있는 실무 개념입니다.   베이크아웃(Bake-Out)이란?베이크아웃(Bake-Out)은신축 건물 또는 리모델링 건물에서 실내 마감재나 접착제, 가구 등에서 방출되는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을단기간에 제거하기 위해 실내온도를 인위적으로 높인 후 강제 환기하는 초기 정화 과정입니다. 쉽게 말해, 건물을 ‘굽듯이’ 가열해서 유해물질이 빠르게 방출되도록 한 다음,외기로 한꺼번에 배출시키는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베이크아웃 목.. 2025. 4. 6.
신축건물 준공 시 시공사가 건축주에게 인수인계할 때 건축기계설비분야에서 확인해야할 서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썸네일 신축건물 준공 시 시공사가 건축주에게 인수인계할 때 건축기계설비분야에서 확인해야할 서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서도 출제된신축건물 준공 시, 건축기계설비 분야에서 시공사가 건축주에게 인수인계할 때 반드시 제출하고 확인해야 할 서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단순히 “도면과 시운전 확인서만 넘기면 된다”는 생각은 이제는 맞지 않습니다.기계설비법, 건축법, 에너지 관련 인증까지 연계된 문서들이 체계적으로 준비되어야책임있는 인수인계가 성립되며, 향후 유지관리 단계의 문제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1. 준공 인수인계 시 확인해야 할 주요 서류 항목구분서류명주요 내용① 설계 및 시공 도서준공도서(As-Built Drawing)실제 시공된 도면으로, 변경 이력 반영② 장비 및 기기 정보기계설비 장비 목록표모델명, 용량, 제작사, 설치위치 포함③ 성능 및 시험결과시운전 결과 보고서시스템.. 2025. 4. 6.
열역학 0,1,2,3 법칙은? 썸네일 열역학 0,1,2,3 법칙은? 열역학 0,1,2,3 법칙오늘은 열역학의 기초이자 모든 에너지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열역학 제0, 제1, 제2, 제3법칙에 대해각각의 개념과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열역학 제0법칙 (The Zeroth Law of Thermodynamics) ✅ 정의서로 A와 B, 그리고 B와 C가 열적 평형 상태에 있다면,A와 C도 서로 열적 평형에 있다. ✅ 의미온도라는 개념이 성립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제공→ 온도 측정이 가능한 이유를 설명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법칙입니다.온도계가 물체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원리를 뒷받침합니다.     열역학 제1법칙 (The First Law of Thermodynamics) ✅ 정의에너지는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으며, 단지 다른 형태로 .. 2025. 4. 6.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7가지 썸네일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7가지 습공기선도 구성요소오늘은 습공기선도(Psychrometric Chart)를 이해하기 위한기본 구성요소 7가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습공기선도는 공기 속의 온도, 습도, 엔탈피, 비습, 포화조건 등 열역학적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그래프로, 공조설계, 냉난방 부하 산정, 쾌적성 평가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7가지 ✅ 건구온도선 (Dry-bulb Temperature)수평 방향의 축우리가 흔히 말하는 **기온(공기 온도)**을 의미단위 : ℃오른쪽으로 갈수록 온도 상승 ✅ 절대습도선 또는 비습선 (Humidity Ratio or Specific Humidity)수직 방향의 축공기 1kg에 포함된 수증기의 무게 (g/kg-dry air)단위 : g/kgDA위로 갈수록 수증기량 증.. 2025. 4. 6.
커미셔닝이란? TAB와의 차이점 썸네일 커미셔닝이란? TAB와의 차이점 커미셔닝이란?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서도 강조된Building Commissioning(빌딩 커미셔닝)의 개념과 의미를실무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개념은 단순한 “설비 시운전”이 아니라,건물 전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검증하고 보증하는 체계적인 품질관리 프로세스입니다.     빌딩 커미셔닝빌딩 커미셔닝(Building Commissioning)은건물의 설계, 시공, 운영 전 과정을 통틀어설비시스템이 원래 의도된 성능대로 작동하도록 검증·문서화하는 절차입니다. 즉, 단순 시운전을 넘어서설계도대로 지어졌는지, 실제 운전이 계획대로 되는지,에너지효율과 쾌적성이 확보되는지를 철저히 확인하는 활동입니다. 커미셔닝은 마치자동차 출고 전 최종 품질검사(QA)와 같습니다. 모든 부품이 조립됐.. 2025. 4. 6.
그린리모델링이란? 썸네일 그린리모델링이란? 그린리모델링이란?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그린리모델링(Green Remodeling)의 정의와 기술 요소(주요 기술요소, 추가 기술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그린리모델링은 단순한 노후 건물 개선이 아니라,건물의 에너지 성능과 환경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녹색 전환 전략입니다.     그린리모델링 정의그린리모델링(Green Remodeling)이란,노후 건축물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실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단열, 창호, 설비 등의 성능 향상 리모델링 기술을 말합니다. 건축물에너지 효율 개선을 중심으로 하되,동시에 쾌적성, 건강성, 온실가스 감축, 유지관리 비용 절감까지 포함하는지속가능한 리뉴얼 방식입니다. 그린리모델링은 마치낡은 집을 단순히 리폼하는 게 아니라,건.. 2025. 4. 6.
난방도일, 냉방도일 계산방법 썸네일 난방도일, 냉방도일 계산방법 난방도일, 냉방도일 계산방법오늘은 냉방도일(Cooling Degree Days : CDD)과난방도일(Heating Degree Days : HDD)의 개념과 계산방법,그리고 구체적인 예시까지실무에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개념은 단순한 외기 온도 분석이 아니라,연간 냉방/난방 부하를 추정하거나 에너지요구량을 가늠할 때 핵심적인 기초 지표로 사용됩니다.   냉방도일(Cooling Degree Days : CDD) 뜻냉방도일이란,기준온도보다 외기 온도가 높아 ‘냉방이 필요한 날’의 온도 초과분을 누적한 값입니다. 즉, 하루 평균 외기 온도가 냉방 기준온도(보통 26℃)보다 높으면그 초과한 차이만큼을 ‘도일(Degree Day)’로 계산하여,냉방이 얼마나 필요한 계절이었는지를 수치화합니다.    .. 2025. 4. 6.
패시브하우스 뜻 썸네일 패시브하우스 뜻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자주 언급되는 주제 중 하나인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패시브하우스는 단순한 ‘에너지 절약형 건물’이 아니라,자체적인 물리적 특성과 설계 기술만으로 최소한의 에너지로도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초고효율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패시브하우스란?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란난방이나 냉방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고성능 건축물로,기계적인 장치보다 건물의 외피 성능과 자연 에너지 활용에 기반해실내 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개념입니다. 독일 패시브하우스연구소(PHI)의 정의에 따르면,연간 난방에너지 사용량이 15kWh/㎡ 이하,1차에너지 사용량이 120kWh/㎡ 이.. 2025. 4. 5.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 녹색성장기본법」의 목적과 취지(의미) 썸네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 녹색성장기본법」의 목적과 취지(의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 녹색성장기본법」의 목적과 취지(의미)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서도 중요하게 언급된「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ㆍ녹색성장 기본법」의 목적과 취지(의미)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법은 단순한 환경 관련 법률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미래 전략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가적 프레임워크를 제도화한 핵심 법률입니다.      제정 배경2020년, 우리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했습니다.하지만 기존의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으로는급변하는 기후 위기 상황과 국제적 탄소 규범에 충분히 대응하기 어려웠습니다.특히 파리협정 이후 탄소 감축은 국가 생존 전략이자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되면서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전면적 기본법이 필요하게.. 2025. 4. 5.
콜드드래프트 원인/방지대책 썸네일 콜드드래프트 원인/방지대책 콜드드래프트 원인/방지대책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건물에서의 Cold Draft(콜드 드래프트)에 대해정의, 발생원인, 방지대책 3가지 관점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Cold Draft는 열 쾌적성 저해, 에너지 낭비, 민원 유발로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실내 환경 이슈입니다.    콜드드래프트 정의Cold Draft(콜드 드래프트)란,창호나 벽면 근처에서 찬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냉기 흐름이 발생해 거주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현상을 말합니다. 콜드 드래프트는 마치겨울에 두꺼운 옷을 입고 있어도, 창문 틈에서 들어오는 찬바람 한 줄기가내 몸을 스치면 그 자리가 오싹해지는 느낌입니다. 전체 공간이 따뜻하더라도,그 한 줄기의 냉기 때문에 전체 온열쾌적성이 떨어지는 것이죠. 일반적으로는창문에.. 2025. 4. 5.
LCA 전과정평가란? 썸네일 LCA 전과정평가란? LCA 전과정평가란?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환경부하 평가법 중 LCA(Life Cycle Assessment)에 대해개념, 구성, 평가방법 3가지 관점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LCA는 단순히 에너지 절약이 아니라,제품이나 건축물이 환경에 끼치는 전체 영향(환경발자국)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대표적인 평가 기법입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LCA는 마치 자동차의 연비만이 아니라,부품 생산부터 폐차까지 전 과정을 다 평가해서이 차가 환경에 끼친 영향을 전부 계산해보는 시스템입니다. 전기차가 연비는 좋지만 배터리 생산 시 환경부하가 크다면,LCA로는 그것까지 따져서 ‘진짜 친환경인지’ 판별할 수 있는 거죠.    LCA 개념LCA (Life Cycle Assessment)란,제.. 2025.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