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68

내단열 외단열 차이 비교 - 어떤 단열방식이 더 좋은가? 썸네일 내단열 외단열 차이 비교 - 어떤 단열방식이 더 좋은가? 내단열 외단열 차이 비교 - 어떤 단열방식이 더 좋은가?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내단열 vs 외단열의 특징 비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비교 항목은 다음 세 가지 관점입니다.결로 위험성축열량(예열시간)을 고려한 난방방식온열쾌적성    내단열 vs 외단열 비교  [결로 위험성 기준]내단열단열재가 내부 마감재 쪽에 위치하므로실내와 외벽 사이 온도차가 커져 벽체 내부 표면이 외기 영향에 그대로 노출됩니다.이로 인해 벽체 내 수증기 응축이 쉽게 발생하고,장기적으로는 곰팡이, 마감재 박리, 열화 위험이 큽니다.특히 비, 눈에 젖은 외벽이 한겨울에 차가운 상태일 때,실내 습기가 벽체 내부에서 결로되기 쉬움외단열단열재가 구조체 바깥에 위치해구조체 자체가 실내와 같은 온도 범위로 유지됩니다.이.. 2025. 4. 5.
엑서지(Exergy) 개념/효율/응용방법 썸네일 엑서지(Exergy) 개념/효율/응용방법 엑서지(Exergy) 개념/효율/응용방법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엑서지(Exergy)의 개념, 효율 정의, 응용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엑서지는 단순한 에너지 총량이 아니라‘얼마나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에너지인가’를 판단하는 물리 개념으로,최근의 에너지절약설계, 친환경 설계, 시스템 최적화 분석에서 중요한 평가 지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엑서지(Exergy)란?엑서지(Exergy)는어떤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능력’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값입니다.즉, 현재 상태에서 주위와 열적·역학적으로 평형을 이룰 때까지,얼마나 유용한 에너지를 꺼내 쓸 수 있는가를 측정하는 개념입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에너지는 지갑 안에 든 전체 돈이.. 2025. 4. 5.
대수평균온도차(LMTD)와 코일열수 관계 썸네일 대수평균온도차(LMTD)와 코일열수 관계 대수평균온도차(LMTD)와 코일열수 관계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공기냉각가열 냉온수 코일의LMTD(Logarithmic Mean Temperature Difference)와코일 열수(Hot or Chilled Water Flow Rate)와의 관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주제는 단순한 열교환 계산 문제를 넘어서냉난방 코일의 효율적 설계와 제어 전략까지 연결되는 핵심 개념입니다.      LMTD (대수평균온도차)란?LMTD(Logarithmic Mean Temperature Difference)는열교환기 양 측 유체 간 온도차를 대표하는 평균값입니다.특히 열교환기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온도차가 일정하지 않을 때(비대칭),정확한 열전달량 계산을 위해 사용하는 수학적 평균 온도차입.. 2025. 4. 5.
액봉현상의 정의와 방지대책 썸네일 액봉현상의 정의와 방지대책 액봉현상의 정의와 방지대책 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냉동사이클에서의 액봉현상(Liquid Slugging)의 정의와 방지대책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액봉현상은 냉동설비나 압축기 시스템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운전 장애 중 하나로,특히 저온 운전 시 또는 냉매 제어 실패 시 반드시 대비가 필요한 문제입니다.    액봉현상이란?액봉현상(Liquid Slugging)이란냉동사이클에서 응축이 완료되지 않은 액체 냉매가 증발기에서 완전히 기화되지 못하고,압축기 흡입측으로 액체 상태로 유입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압축기는 기체만 빨아들이는 진공청소기 같은데,그 안으로 갑자기 물 한 바가지가 확 들어오면모터가 ‘퍽’ 하고 멈춰버리는 겁니다. 이게 바로 .. 2025. 4. 5.
압축기/송풍기/냉동기/스프링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썸네일 압축기/송풍기/냉동기/스프링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압축기/송풍기/냉동기/스프링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기계설비별 서징현상(Surging)의 원인진상 및 해결방안을압축기, 송풍기, 냉동기, 스프링 방식 장치로 구분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서징은 여러 회전기계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비정상적 압력·유량 진동 현상으로,설비에 따라 원인과 대응 방식이 달라지므로 구체적 구분이 중요합니다.      압축기(Compressor)의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발생원인토출 압력이 지나치게 높고 흡입 유량이 적을 때성능곡선의 불안정 영역(후부 곡선)에서 운전흡입측 댐퍼·밸브 오작동, 막힘, 고장부하변동이 심한 시스템에서 제어불능 상태 진입 ✅ 문제증상유량이 앞뒤로 진동하며 소음 발생압축기 역류, 진동, 고속베어링 손상전동기 과부하, 트립 발생 ✅ 해결방안최소유.. 2025. 4. 5.
서징현상 발생원인/방지법 썸네일 서징현상 발생원인/방지법 서징현상 발생원인/방지법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기계설비에서의 서징현상(Surging) 발생 원인과 방지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서징(Surge)은 송풍기, 펌프, 압축기 등 회전기계류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한 진동 현상으로,특히 운전 조건이 급변하거나 시스템 부하가 일정 이하로 떨어질 때 자주 발생합니다.      서징현상(Surging)이란?서징현상이란기계설비에서 흐름이 불안정하게 진동하며, 유체가 앞뒤로 반복 이동하거나압력과 유량이 비정상적으로 진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서징은 마치 가득 찬 물병 입구를 갑자기 막아버릴 때물이 나가지 못하고 입구에서 ‘출렁출렁’ 하며 역류하는 것과 비슷합니다.이 출렁거림이 반복되면서 내부 압력이 변동되고 시스템이 흔들리는.. 2025. 4. 5.
맥동현상 뜻/원인/방지대책 썸네일 맥동현상 뜻/원인/방지대책 맥동현상 뜻/원인/방지대책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송풍기(Fan)에서 발생하는 맥동현상(Surging)의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맥동(Surge)은 송풍기의 불안정 운전 상태 중 가장 위험한 현상 중 하나로,특히 고정압 운전 조건에서 풍량이 과도하게 낮아질 때 발생합니다.     맥동현상이란?맥동(Surging)이란송풍기에서 풍량이 불안정하게 진동하며 반복적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송풍기 내부에서 압축된 공기가한순간에 토출되지 못하고 다시 역류하거나,토출과 흡입이 번갈아 발생하면서 불안정한 운전 상태에 빠지는 현상입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송풍기의 맥동현상은 정체 구간에서 엔진 RPM이 일정하지 않아 자동차가 덜컥거리는 것과 비.. 2025. 4. 5.
PMV, Met, Clo와의 관계는? 썸네일 PMV, Met, Clo와의 관계는? PMV, Met, Clo와의 관계는?오늘은 PMV(Predicted Mean Vote)와 Met, Clo의 관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은 실내 열환경에서 사람이 얼마나 쾌적함을 느끼는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데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PMV는 Met와 Clo를 기반으로 계산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PMV란?PMV(Predicted Mean Vote)는사람이 열적으로 얼마나 쾌적하게 느끼는지를 수치화한 지표입니다.ASHRAE 55 기준−3 ~ +3 범위의 7단계 척도 사용PMV 값의미+3매우 덥다+2덥다+1약간 덥다0쾌적−1약간 춥다−2춥다−3매우 춥다PMV는 단순 주관적인 느낌이 아니라, 인체 대사량(Met), 의복 단열 성능(Clo), 공기 온도, 평균복사온도.. 2025. 4. 5.
Met와 Clo의 차이점 썸네일 Met와 Clo의 차이점 Met와 Clo의 차이점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Met(메트)와 Clo(클로)의 개념, 특징, 그리고 두 지표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두 단위는 실내 열환경의 쾌적성 판단과 PMV/PPD 계산의 기초자료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ASHRAE Standard 55, ISO 7730과 같은 국제기준에서 열환경 평가의 핵심 요소로 규정됩니다.      Met(메트)란?Met(Metabolic Rate)는인체의 대사활동으로 발생하는 열량을 표면적 단위당 표시한 지표입니다.기준값 : 1 met = 58.2 W/m²이는 성인이 앉아서 조용히 쉬고 있는 상태의 평균 대사열량입니다.아래는 활동 유형별 대략적인 met 값입니다.활동 유형예상 Met 값수면0.7앉아서 독서1.0서서 .. 2025. 4. 4.
선형열관류율이란? 썸네일 선형열관류율이란? 선형열관류율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선형열관류율(Linear Thermal Transmittance)의 개념과, 비슷한 용어들과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개념은 단열 성능 평가, 에너지 절약 설계, 결로 예방 등에서 주택·건축물의 열손실을 정확하게 계산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지표입니다.      선형열관류율(Linear Thermal Transmittance)이란?선형열관류율(ψ, Psi-value)이란두 부위 이상이 만나는 선(line) 형태의 열교 부위에서길이 1m당 단위 시간에 손실되는 열량(W/m·K)을 말합니다. 예시를 들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외벽과 슬라브가 만나는 모서리창틀과 벽체의 접합부외벽과 기초 사이의 연결부 등즉, 면이 아닌 선 형태의 열교에서.. 2025. 4. 4.
열교현상이란? 썸네일 열교현상이란? 열교현상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열교(Thermal Bridge) 개념과,열관류율(U-value)과의 관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에너지절약 설계와 결로방지 설계의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열교이며, U값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보이지 않는 에너지 손실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열교(Thermal Bridge)란?열교(Thermal Bridge)란건물의 특정 부위에서 열이 집중적으로 빠르게 흐르는 부분, 즉, 주변보다 열전달(전도·복사)이 더 많이 일어나는 구조적 취약 지점을 말합니다. 주로 단열이 끊기거나 단열 두께가 얇아지는 곳, 또는 구조체가 열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곳에서 발생합니다. 건물의 벽 전체가 두꺼운 단열재로 잘 막혀 있어도 그 사이에 몇 개의 작.. 2025. 4. 4.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기준] TP(Technical Proposal)란? 썸네일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기준] TP(Technical Proposal)란?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기준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건설기술용역사업의 평가방식 중 TP(Technical Proposal)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기술제안서(TP)는 단순한 자격 증빙을 넘어 해당 과업을 어떻게 수행할지에 대한 전략과 실행계획을 명확히 보여주는 핵심 문서입니다. 특히, 기술능력·조직 구성·과업 이해도·리스크 대응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TP (Technical Proposal)란?TP(기술제안서, Technical Proposal)는 건설기술용역사업에서 입찰참가자가 과업을 어떻게 수행할지에 대한 기술적 실행계획을 제안하는 문서입니다. 쉽게 말해, “이 용역을 어떻게 설계하고, 어떤 방식으로 수행하며, 어떤 성과를 낼 것인지”를 구체적으.. 2025.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