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68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기준] SOQ (State of Qualification)란? 썸네일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기준] SOQ (State of Qualification)란?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기준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건설기술용역사업의 평가방식 중 'SOQ(State of Qualification)' 제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PQ와 더불어 자주 혼용되거나 혼동되는 개념이지만, SOQ는 기술제안서 중심의 '기술능력 평가'에 초점을 둔 방식으로 특정 과업에 대한 수행 의지와 능력을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사전 절차입니다.     SOQ(State of Qualification)란?SOQ(State of Qualification)란 건설기술용역 사업 수행을 희망하는 업체가 자사의 기술능력, 조직 구성, 과업 이해도, 과업 수행 전략 등을 서술형으로 제시하는 ‘기술자격서’입니다. 즉, PQ가 정량 평가 중심의 자격심사라면, SOQ는 정성 평가 중심의 능.. 2025. 4. 4.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기준] PQ (Pre-Qualification)란? 썸네일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기준] PQ (Pre-Qualification)란?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기준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건설기술용역사업의 평가방식 중 'PQ(Pre-Qualification)' 제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공공 발주 사업에서 설계·감리·엔지니어링 용역 등을 수행하려면 단순 가격경쟁만으로는 부족하고, 기술력과 경험을 검증하는 절차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바로 그 사전심사제도(PQ)가 그 역할을 합니다.   PQ(Pre-Qualification)란?PQ(Pre-Qualification)란건설기술용역사업 참여 희망 업체를 대상으로기술능력, 수행경험, 사업이해도, 재무 건전성 등을 미리 평가하여 입찰 참여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즉, 모든 업체가 입찰에 참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PQ 심사를 통과한 업체만 본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 2025. 4. 4.
보일러 포밍 현상이란? 캐리오버/프리이밍/포밍 차이점은? 썸네일 보일러 포밍 현상이란? 캐리오버/프리이밍/포밍 차이점은? 보일러 포밍 현상이란? 캐리오버/프리이밍/포밍 차이점은?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보일러의 이상 현상 중 ‘포밍(Foaming)’의 정의와 원인,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또한 유사 개념인 캐리오버와 프리이밍과의 차이점도 확인해보겠습니다.포밍(Foaming)이란?포밍(Foaming)이란보일러 드럼 내 수면 위에서 거품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그 거품이 쉽게 터지지 않아 수증기와 함께 유입되는 현상을 말합니다.쉽게 말해, 비누 거품처럼 수면 위에 떠 있는 기포가 터지지 않고 증기 배출구로 딸려 나가버리는 문제입니다.이 거품 속에는 고형물, 불순물, 약품, 수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증기 품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포밍의 발생 원인포밍의 발생 원인은 다음과.. 2025. 4. 4.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생방송 링크 썸네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생방송 링크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생방송 링크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생방송 링크영상입니다. 참고하세요. https://www.youtube.com/live/ZfXXJCIZmnY?si=7KHZxxexJyDqN7gA 2025. 4. 4.
보일러 프라이밍 현상 썸네일 보일러 프라이밍 현상 보일러 프라이밍 현상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보일러의 이상 현상 중 ‘프라이밍(Priming)’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프라이밍은 보일러에서 증기를 뽑아낼 때 발생하는 물방울 동반 현상 중 하나로,캐리오버와 유사하지만 보다 갑작스럽고 물리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프라이밍(Priming)이란?프라이밍(Priming)이란,보일러 드럼 내에서 증기 발생이 과도하거나 불안정할 때,물방울이 거품이나 포말 상태로 함께 튀어나와 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즉, 증기 생성이 너무 격렬하여증기 속에 많은 양의 액상 물질이 동반되는 급성 캐리오버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프라이밍의 발생 원인프라이밍의 발생 원인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1. 급격한 부하 증가 (증기.. 2025. 4. 4.
보일러 캐리오버 현상이란? 썸네일 보일러 캐리오버 현상이란? 보일러 캐리오버 현상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보일러의 이상 현상 중 '캐리오버(Carry Over)'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캐리오버는 보일러 운전 중 자주 언급되는 문제이며,증기 품질 저하, 열교환기 오염, 유체 순환 불량 등의연쇄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 이상 현상 중 하나입니다.       캐리오버(Carry Over)란?캐리오버(Carry Over)란,보일러 드럼에서 증발한 증기와 함께 수분(물방울, 용존고형물, 보일러수)이 동반되어 증기배관으로 이월(이동)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정상적으로는 증기만 추출되어야 하지만,물방울이 섞여 증기와 함께 이동하게 되면하류 장비나 설비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캐리오버의 주요 발생 원인1. 보일러 수위 조절 불량.. 2025. 4. 4.
개발일지 250404가시성을 위해 표 글자 크기 (article-view table td) 12px > 14px로 수정 2025. 4. 4.
지열시스템 그라우팅 재료의 특징 썸네일 지열시스템 그라우팅 재료의 특징 지열시스템 그라우팅 재료의 특징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지열시스템의 천공 및 그라우팅(Grouting) 공정에서 사용되는시멘트 계열 그라우트 재료의 특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지열시스템은 단순한 파이프 매설이 아닌,지하 환경을 보호하고 열전달 성능을 최적화하는 복합시스템입니다.이때 시멘트 계열 그라우트는 열전달 매개체이자 구조 안정성 확보의 핵심 역할을 합니다.   시멘트 계열 그라우트란?지열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시멘트계 그라우트(Cement-based Grout)란,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한 재료에 물과 열전도 향상 첨가제를 배합하여지중 열교환기 주변을 충전하는 전용 소재입니다. 이 재료는 일반 건축용 시멘트 모르타르와는 다르게,열전도율, 작업성, 수축률, 환경친화성 등이 특화되어.. 2025. 4. 4.
지열시스템 그라우팅 목적 썸네일 지열시스템 그라우팅 목적 지열시스템 그라우팅 목적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지열시스템에서의 그라우팅(Grouting) 작업의 목적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지열시스템을 위한 수직밀폐형 천공공은 단순히 구멍만 뚫는 것이 아니라,천공 후 그라우팅까지 정확하게 마무리하는 것이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에 핵심입니다.    그라우팅이란?지열 시스템에서 그라우팅(Grouting)이란,보어홀(borehole, 천공공)에 지중열교환기(Loop)를 설치한 뒤,공극을 충전재로 메우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충전재는 일반적으로벤토나이트, 시멘트계 혼합재, 열전도성 향상 첨가제 등을 포함합니다.       그라우팅의 환경적 목적1. 지하수 오염 방지보어홀은 지표수, 지하수, 암반층을 모두 통과합니다.만약 천공공이 비어 있다면지표 .. 2025. 4. 4.
마이크로그리드 vs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차이점은? 썸네일 마이크로그리드 vs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차이점은? 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정책이 기존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과 어떤 차별점을 가지는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두 정책 모두 재생에너지 확대를 지향하지만,운영 방식, 정책 목표, 적용 범위, 시스템 통합성에서근본적인 차이를 보입니다.     기존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이란?정부가 2000년대 초부터 추진해온 대표적인 사업으로,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지원해주는 정책입니다.대표사업 :주택지원사업 (태양광 3kW 보조금 지원 등)지역지원사업 (지자체 공공건물 태양광 보급 등)건물지원사업 (학교, 상가, 공동주택에 설치 지원)중점 : “설비 설치 자체”에 초점운영 : 생산된 전기는 한전에 계통연계 또는 자가소.. 2025. 4. 3.
마이크로그리드 뜻 썸네일 마이크로그리드 뜻 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의 개념과 구조, 그리고 왜 중요한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최근 전력기술과 설비계획을 공부할 때 빠질 수 없는 개념이 바로 이 마이크로그리드입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분산형 전원 이슈와 맞물려 정부 정책과 건축기계설비 분야에서의 실무 적용이 늘어나고 있는 핵심 용어이기도 합니다.     마이크로그리드란?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는하나의 소규모 전력 시스템 안에서, 발전·저장·소비가 자율적으로 이뤄지는 독립형 전력망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마을 하나 또는 건물 하나가 독립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저장하고, 사용하는‘작은 전력 자급자족 시스템’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기존.. 2025. 4. 3.
마이크로그리드 vs 스마트그리드 차이점 썸네일 마이크로그리드 vs 스마트그리드 차이점 오늘은 2024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와 스마트그리드(Smart Grid)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두 개념은 미래 에너지 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로 자주 함께 등장하지만,그 범위, 제어 방식, 독립성, 적용 대상 등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실무에서는 두 개념을 혼동하지 않고 구분할 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마이크로그리드 vs 스마트그리드개념 요약부터 비교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항목마이크로그리드 (Microgrid)스마트그리드 (Smart Grid)정의소규모 독립형 전력망지능형 전력망 전체 시스템규모마을, 건물, 단지 수준국가, 대도시, 광역망운영방식독립 또는 연계 가능 (island & grid mode)기존 전력망 기반 통합 운영.. 202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