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2024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와 스마트그리드(Smart Grid)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두 개념은 미래 에너지 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로 자주 함께 등장하지만,
그 범위, 제어 방식, 독립성, 적용 대상 등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두 개념을 혼동하지 않고 구분할 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마이크로그리드 vs 스마트그리드
개념 요약부터 비교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 마이크로그리드 (Microgrid) | 스마트그리드 (Smart Grid) |
정의 | 소규모 독립형 전력망 | 지능형 전력망 전체 시스템 |
규모 | 마을, 건물, 단지 수준 | 국가, 대도시, 광역망 |
운영방식 | 독립 또는 연계 가능 (island & grid mode) | 기존 전력망 기반 통합 운영 |
구성요소 | 발전, ESS, 제어, 수요관리 포함 | 송·변·배전 + ICT + 수요 반응 |
자율성 | 자가 발전, 자체 제어, 독립 운전 가능 | 중앙통제 기반, 연계 운전 |
목적 | 에너지 자립, 비상운전, 분산형 대응 | 에너지 효율화, 정전 최소화, 수요 예측 |
예시 | ZEB 단지, 병원 마이크로그리드, 섬지역 전력망 | 전국 전력망, 지능형 계량기(AMI), 전기차 충전관리 |
이를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
스마트그리드는 고속도로 전체에 스마트센서와 신호 시스템을 붙여
차들이 막힘 없이 흐르게 만드는 교통망 전체 시스템이라면,
마이크로그리드는
작은 마을 하나가 자체 발전소와 주차장, 교통신호기를 갖춘 독립형 마을입니다.
고속도로가 막혀도 마을 안에서 돌아가는 데는 문제가 없는 거죠.
핵심 차이점 구분
1. 운영 주체와 범위
- 스마트그리드는 국가 전력망 전체를 지능화하는 개념입니다.
기존의 송전·변전·배전 체계에 ICT(정보통신)를 접목해
수요예측, 전력배분, 정전 대응, 에너지 효율 향상을 실현합니다. - 반면, 마이크로그리드는 그 거대한 스마트그리드 안에 있는
'작은 독립형 마을’ 또는 ‘자급자족 가능한 섬’과 같은 개념입니다.
2. 독립성
- 마이크로그리드는 독립 운전(Islanding Operation)이 가능합니다.
외부 전력망과 단절되더라도 자체 발전과 저장으로 운영됩니다. - 스마트그리드는 중앙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체를 최적화하는 방식입니다.
자체 발전 기능은 없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흐름을 조절합니다.
3. 주요 기술 구성
- 마이크로그리드는
소규모 발전기(태양광, 연료전지), ESS, EMS, 수요제어 시스템 등을 직접 포함합니다. - 스마트그리드는
AMI(지능형 계량), PMU(고속센서), DR(수요반응), EV충전, AI예측시스템 등
전력망 전체를 통제하는 첨단 기술에 더 가까운 구성입니다.
정리해보자면
스마트그리드(Smart Grid)는
전력망 전체를 지능화하는 거대한 시스템이고,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는
그 안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소규모 자율 전력망입니다.
구분 마이크로그리드 스마트그리드
구분 | 마이크로그리드 | 스마트그리드 |
범위 | 소규모, 지역 단위 | 국가 전력망 전체 |
독립운전 | 가능 | 불가능 |
구성요소 | 발전기, ESS, EMS 포함 | 계량기, 통신, 제어기술 중심 |
목적 | 자립, 재난 대응 | 효율적 전력 분배 |
대표사례 | 독립형 ZEB 단지, 병원 전력계통 | AMI, DR, 전력거래 플랫폼 |
두 시스템은 서로 경쟁하는 개념이 아니라,
미래 에너지 시스템에서 ‘스마트그리드 안의 마이크로그리드’ 형태로 함께 운용되며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전기안보 대응의 핵심 수단이 됩니다.
많이 본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