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68

송풍기 날개 형태에 따른 분류 (에어포일/시로코/전곡형/후곡형/직날형) 썸네일 송풍기 날개 형태에 따른 분류 (에어포일/시로코/전곡형/후곡형/직날형) 송풍기 날개 형태에 따른 분류 송풍기를 설계할 때 단순히 종류만 따지는 것으론 부족합니다.같은 원심형 송풍기라고 해도, 날개 형상에 따라 풍량, 풍압, 소음, 효율이 모두 달라지기 때문입니다.이번에는 실제 공조설비와 환기설비에서 자주 쓰이는 송풍기의 날개(임펠러) 형태를 기준으로에어포일형, 시로코형, 전곡형, 후곡형 등 주요 분류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에어포일 팬 (Airfoil Fan)비행기 날개처럼 생긴 단면을 가진 팬입니다.곡선 형태의 단면이 공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유도하며,고효율·저소음 성능이 매우 뛰어난 송풍기입니다. 풍량이 크고, 정압도 충분히 낼 수 있으며,소음이 적어 대형 공조기나 AHU에 자주 적용됩니다.특히, 최근 고효율 설계 기준에 따라IEQ(실내환경품질) 기준을 만족시켜야 하는 빌.. 2025. 4. 7.
송풍기 종류 (원심형/축류형/사류형) 썸네일 송풍기 종류 (원심형/축류형/사류형) 송풍기 종류 (원심형/축류형/사류형) 공기조화나 환기 시스템을 설계하다 보면, 팬(Fan) 하나에도 수많은 종류와 특성이 있다는 걸 실감하게 됩니다.단순히 공기를 움직이는 장치 같지만, 방향, 압력, 설치 조건에 따라 전혀 다른 종류의 송풍기가 필요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가장 대표적인 세 가지 송풍기 종류(원심형, 축류형, 사류형)에 대해구조, 특징, 활용 분야까지 한 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원심형 송풍기 (Centrifugal Fan)원심형은 공기를 회전력으로 밀어내는 방식입니다.임펠러(날개)가 빠르게 돌면서 공기를 바깥 방향으로 날려보냅니다. 공기의 흐름 방향은입구에서 축 방향 → 회전 후 반지름 방향(직각)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구조 때문에 높은 압력을 만들 수 있으며,필터나 덕트가 많.. 2025. 4. 7.
배관 스케줄(SCH)의 뜻과 SCH 파이프 규격표 썸네일 배관 스케줄(SCH)의 뜻과 SCH 파이프 규격표 배관 스케줄의 뜻과 SCH 파이프 규격 기계설비 설계를 하다 보면 도면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있습니다.바로 “배관 스케줄(Schedule)”, 줄여서 SCH라고 부르는 용어입니다. “50A SCH40”, “80A SCH10” 같은 표현이 대표적이며,이것만 보면 파이프의 외경과 두께를 동시에 알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단어를 처음 접하면 “도대체 숫자 10, 40, 80은 뭘 의미하지?” 싶을 수 있죠.이번 글에서는 그 의미와 규격 체계를 완전히 정리해보겠습니다. 배관 스케줄(SCH, Schedule)이란?스케줄은 한마디로 파이프의 두께를 정하는 등급 번호입니다.단순한 ‘두께(mm)’가 아니라, 공칭지름(NPS)과의 조합으로 두께가 결정되는 상대적인 규격 체계입니다. 스케줄 넘버는 다음 공식에서 유래.. 2025. 4. 7.
섭시 화씨 절대온도 차이점은? 썸네일 섭시 화씨 절대온도 차이점은? 섭시 화씨 절대온도 차이점은? 온도는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기준점'과 '단위 간격'이 어떻게 정의되었는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체계가 됩니다.섭씨(℃), 화씨(℉), 절대온도(K)는 각각의 기준과 목적에 따라 만들어진 온도 단위 체계입니다.같은 현상을 나타내더라도 이들 단위는 값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혼용하지 않도록 정확히 이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섭씨 온도 (℃)섭씨는 우리 일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하는 온도입니다.기준은 물의 상태 변화에 있습니다.0℃ : 물이 얼어붙는 온도 (어는점)100℃ : 물이 끓는 온도 (끓는점)이 두 지점을 기준으로 100등분한 것이 섭씨입니다.그래서 섭씨는 물의 상태 변화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생활이나 날씨, 설비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에어컨 온도, 실.. 2025. 4. 7.
일과 에너지 차이점 정리 썸네일 일과 에너지 차이점 정리 일과 에너지 차이점 정리 기계설비나 전기, 건축물의 에너지 관리 업무를 하다 보면 ‘일’, ‘에너지’, ‘일률’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용어 자체는 단순해 보여도, 그 차이를 정확하게 구분해서 쓰는 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단위도 J와 W로 다르고, 의미도 다르기 때문에 실무 감각으로 이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이번에는 이 세 가지 개념과 단위를 명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일(Joule, 줄)이란?일이란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해 움직이게 했을 때 ‘한 일’을 의미합니다.다시 말해, 힘을 가했을 때 거리만큼 실제로 움직였다면 그만큼 일을 했다고 정의합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W = F × d여기서W는 일(Work)F는 힘(뉴턴)d는 이동 거리(미터)입니다. 예를 들어, 10N의 힘으로 물체.. 2025. 4. 7.
압력의 단위 (Mpa, mmAq, atm, bar) 총 정리 썸네일 압력의 단위 (Mpa, mmAq, atm, bar) 총 정리 압력의 단위 (Mpa, mmAq, atm, bar) 총 정리 압력 단위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압력'이라는 개념부터 천천히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단순히 ‘힘’과는 다른 개념이고, 단위마다 쓰임새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하나 비교해가며 정리해보겠습니다.개념부터 차근차근 이해해두면, 현장에서도 숫자의 크기만 보고도 감이 올 수 있습니다. 압력이란?압력은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을 말합니다.공식으로는 다음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P = F / A여기서 P는 압력, F는 힘(뉴턴), A는 면적(제곱미터)입니다.즉, 같은 힘이라도 면적이 작을수록 압력은 커집니다.발뒤꿈치로 누르면 안 아픈데 하이힐 굽으로 밟으면 아픈 이유가 바로 이 원리입니다. 국제 표준 단위 : Pa (파스칼)Pa.. 2025. 4. 7.
STS304와 STS316 차이점은? 썸네일 STS304와 STS316 차이점은? STS304와 STS316 차이점은? 오늘은 스테인리스강의 대표격인 STS304와 STS316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현장에서 배관 재질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고민하게 되는 부분이 바로 이 두 가지인데요.도면에 "STS304 사용", "STS316으로 시공" 같은 표기가 있을 때, 왜 굳이 더 비싼 STS316을 썼는지 이유가 궁금해지셨던 적 있으실 겁니다.두 재질은 내식성, 합금 원소, 가격, 적용 장소 등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입니다.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STS304란?STS304는 가장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재질입니다.18% 크롬(Cr)과 8% 니켈(Ni)을 포함하고 있어, 흔히 '18-8 스테인리스'라고도 불립니다.주요 성분 : 크롬 18%, 니켈 8%특성 : 뛰어난 내식성, 우수.. 2025. 4. 7.
스테인리스 강관 규격 (구조용/배관용) 썸네일 스테인리스 강관 규격 (구조용/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규격 (구조용/배관용) 이번엔 스테인리스 강관의 규격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강관 하면 흔히 흑관이나 백관부터 떠올리게 되지만, 실제로 위생, 내식성, 고온, 청정 공정 등 까다로운 조건이 필요한 곳에서는 스테인리스 배관이 주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이 스테인리스 배관도 종류가 굉장히 다양하고, 구조용, 배관용, 식품용, 자동차용 등 쓰임새에 따라 규격부터 성분까지 달라지게 됩니다.오늘은 그중에서도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과 구조용 스테인리스 강관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스테인리스 배관, 어디서 쓰이나요?스테인리스 배관은 보통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고온 고압 증기나 열매체 배관위생을 요구하는 급수/정수/식품/의약배관오염이나 부식에 민.. 2025. 4. 7.
강관 규격별 용도 정리 썸네일 강관 규격별 용도 정리 강관 규격별 용도 정리 오늘은 실무에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강관 배관의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처음 건축설비 공부를 시작하거나 현장에 배정되면, 도면에 적힌 'SPP', 'SPPW', 'SPPS' 같은 낯선 알파벳이 눈에 띄게 되는데요. 이 강관들은 사실 규격에 따라 아주 구체적인 용도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KS D 규격을 기준으로 하나씩 정리해볼 테니, 실무에서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순서대로 따라와 주세요. 강관은 탄소강 소재로 만든 관을 의미하며, 용도에 따라 저압, 고압, 고온, 저온, 수도용, 가스용 등으로 세분화됩니다.각 배관은 KS D 코드로 시작하는 규격 번호와 함께, SPP, SPPW, SPPS, SPPH, SPLT, SPHT, SPPG 등으로 표기되며, 아래와 같은 특징.. 2025. 4. 7.
퇴사일 / 퇴직일 / 마지막 근무일 기준은? 썸네일 퇴사일 / 퇴직일 / 마지막 근무일 기준은? 퇴사일 / 퇴직일 / 마지막 근무일 기준은?퇴사일, 퇴직일, 마지막 근무일.표현은 다양하지만, 이 셋은 정말 같은 의미일까요? 인사담당자나 퇴직하는 근로자 입장에서는 그 기준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명확히 구분해보는 게 좋습니다. 실제 퇴직금 계산, 건강보험 상실일자, 경력증명서 작성 등 실무에서도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아래에서 각 용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퇴사일이란?일반적으로 ‘퇴사일’은 직장에서 근로를 종료한 날짜, 즉 마지막으로 일한 날을 뜻합니다.예를 들어, 4월 30일까지 근무하고 5월 1일부터 출근하지 않는다면 퇴사일은 4월 30일입니다.근로계약이 종료되는 날이라고 이해해도 무방합니다.퇴직일이란?퇴직일은 조금 더 법적.. 2025. 4. 6.
에너지사용계획서 제출대상은? 썸네일 에너지사용계획서 제출대상은? 에너지사용계획서 제출대상오늘은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서 정하고 있는에너지사용계획 제출 대상 시설 규모와에너지 진단 주기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기준은 에너지 다소비 건물·시설에 대한 관리와국가 차원의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기 위한 법적 관리장치이며,설계자, 운영자, 감리자 모두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사항입니다.     에너지사용계획 제출 대상「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제17조에 따라,다음 시설은 ‘에너지사용계획서’를 관할 시·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합니다.  ✅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 신축·증축·개축 시연면적 1,000㎡ 이상인 건축물해당 건축물에 기계설비·전기설비 등 에너지 관련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 전 에너지사용계획서를 제출하고,사용 전 검사 시 에너지절약 조치 이행 여부를 점검받아야 .. 2025. 4. 6.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서 TDR 정의 및 적용대상 썸네일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서 TDR 정의 및 적용대상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서 TDR 정의 및 적용대상 오늘은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서 명시하고 있는TDR(Temperature Difference Ratio : 온도차이비율)의 정의와 적용대상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결로는 단순히 ‘물이 맺히는 현상’이 아니라,입주자 불만, 곰팡이 발생, 단열 결함 논란의 핵심 이슈입니다.따라서 TDR은 공동주택 설계단계에서 결로 예방을 위한 기술적 기준으로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TDR의 정의 (온도차이비율 : Temperature Difference Ratio)TDR이란,실내에서 외기와 접한 부위(예 : 벽, 창호, 슬래브 등)의 표면온도가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D.. 2025.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