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 규격별 용도 정리
오늘은 실무에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강관 배관의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처음 건축설비 공부를 시작하거나 현장에 배정되면, 도면에 적힌 'SPP', 'SPPW', 'SPPS' 같은 낯선 알파벳이 눈에 띄게 되는데요. 이 강관들은 사실 규격에 따라 아주 구체적인 용도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S D 규격을 기준으로 하나씩 정리해볼 테니, 실무에서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순서대로 따라와 주세요.
강관은 탄소강 소재로 만든 관을 의미하며, 용도에 따라 저압, 고압, 고온, 저온, 수도용, 가스용 등으로 세분화됩니다.
각 배관은 KS D 코드로 시작하는 규격 번호와 함께, SPP, SPPW, SPPS, SPPH, SPLT, SPHT, SPPG 등으로 표기되며,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KS D 3507 : 배관용 탄소강관 (SPP 흑관, 백관)
흔히 말하는 일반 강관입니다. 철판을 코일 성형하여 만든 것으로,
SPP 흑관은 도금이 없는 상태,
SPP 백관은 아연 또는 알루미늄 도금이 되어 있습니다.
- 사용 온도·압력 : 저온·저압
- 주용도 : 급수, 공기, 소방, 배수, 일반 설비 배관
- 주의점 : 내식성이 낮아 급수용에는 SPPW를 더 많이 씁니다
KS D 3537 : 수도용 아연도 강관 (SPPW)
SPP 백관보다 더 두껍고 고품질 아연도금이 적용된 수도용 배관입니다.
도심 재개발지역이나 오래된 학교 리모델링 급수공사에서 자주 보입니다.
- 사용 압력 : 수두 100m 이하
- 용도 : 급수용 배관, 수도 인입선
- 특징 : 내식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위생적입니다
KS D 3562 :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SPPS250)
이전에는 SPPS380, SPPS420으로 나뉘었지만, 최근에는 SPPS250으로 통합되었습니다.
'보일러 증기관', '수압관', '기계실 배관' 등, 고압이 걸리는 곳에 사용됩니다.
- 사용 온도 : 350℃ 이하
- 사용 압력 : 1.0 ~ 9.8 MPa (10 ~ 100 kgf/㎠)
- 항복강도 : 250 MPa
- 스케줄 : Sch.10 ~ Sch.80 (시험 압력 2 ~ 12 MPa)
KS D 3564 : 고압배관용 탄소강관 (SPPH380 / SPPH420 / SPPH490)
SPPS보다 더 높은 압력에 대응 가능한 고압 전용 강관입니다.
냉매용 압축기 라인이나 산업플랜트 고압라인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사용 온도 : 350℃ 이하
- 사용 압력 : 9.8 MPa 초과
- 인장강도 : 380 ~ 490 MPa
- 스케줄 : Sch.40 ~ Sch.160 (시험 압력 6 ~ 20 MPa)
KS D 3569 : 저온배관용 탄소강관 (SPLT390 / SPLT460 / SPLT700)
영하의 저온 환경에서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된 강관입니다.
냉동기 배관, LNG 저장시설 등에서 사용됩니다.
- 사용 온도 : 0℃ 이하
- 인장강도 : 390 ~ 700 MPa
- 특징 : 저온 취성 방지
KS D 3570 : 고온배관용 탄소강관 (SPHT380 / SPHT420 / SPHT490)
고온의 스팀, 열수 등을 다루는 배관용입니다.
보일러 상부 라인, 증기관, 고온 공정 배관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사용 온도 : 350℃ 초과
- 인장강도 : 380 ~ 490 MPa
- 특징 : 고온에서의 강도 유지가 핵심
KS D 3631 : 연료가스배관용 탄소강관 (SPPG210)
도시가스, LPG 라인용으로 사용되는 배관입니다.
주거·상가 내 연료계통에서 자주 등장하며, 가스전용이라는 특성이 강조됩니다.
- 사용 압력 : 1.0 MPa 이하
- 항복강도 : 210 MPa
- 용도 : 연료가스 배관 전용
추가 팁 : 흑관 vs 백관, 다시 정리하면
- 흑관 : 도금이 없는 관. 내식성이 떨어짐
- 백관 : 도금(아연, 알루미늄 등)이 된 관. 녹 방지용
- 도금 여부는 표면 색과 도면 표기로 구분
- KS D 3507, 3562 강관도 흑/백 구분 가능
기억에 남기기 위한 정리표
규격 | 용도 | 약어 | 도금 여부 |
KS D 3507 | 일반 배관 | SPP | 흑관/백관 |
KS D 3537 | 수도용 | SPPW | 백관 |
KS D 3562 | 압력 배관 | SPPS250 | 흑/백관 |
KS D 3564 | 고압 배관 | SPPH | 흑/백관 |
KS D 3569 | 저온 배관 | SPLT | 흑관 |
KS D 3570 | 고온 배관 | SPHT | 흑관 |
KS D 3631 | 가스 배관 | SPPG | 흑관 |
정리해보자면,
현장에서 배관 자재를 확인할 때는 반드시 KS D 규격, 압력 및 온도 조건, 도금 여부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도면에서 자주 보이는 약어들(SPP, SPPS 등)은 각각의 특성과 용도에 맞게 잘 정리해두면, 입찰 도면 해석이나 자재 발주 시 아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