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축기/송풍기/냉동기/스프링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압축기(Compressor)의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송풍기(Fan)의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냉동기(Chiller)의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스프링 방식 장치 (스프링 리턴 댐퍼, 체크밸브 등)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기계설비별 서징현상 차이점 비교정리
- 더 알아보기 〉〉
반응형
압축기/송풍기/냉동기/스프링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기계설비별 서징현상(Surging)의 원인진상 및 해결방안을
압축기, 송풍기, 냉동기, 스프링 방식 장치로 구분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서징은 여러 회전기계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 압력·유량 진동 현상으로,
설비에 따라 원인과 대응 방식이 달라지므로 구체적 구분이 중요합니다.
압축기(Compressor)의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발생원인
- 토출 압력이 지나치게 높고 흡입 유량이 적을 때
- 성능곡선의 불안정 영역(후부 곡선)에서 운전
- 흡입측 댐퍼·밸브 오작동, 막힘, 고장
- 부하변동이 심한 시스템에서 제어불능 상태 진입
✅ 문제증상
- 유량이 앞뒤로 진동하며 소음 발생
- 압축기 역류, 진동, 고속베어링 손상
- 전동기 과부하, 트립 발생
✅ 해결방안
- 최소유량 유지용 재순환 회로(RC Line) 설치
- 안정 운전영역(BEP 부근) 확보
- 흡입댐퍼 자동 제어 연동
- 인버터 제어 + 압력센서 조합
송풍기(Fan)의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발생 원인
- 급격한 풍량 감소 or 토출측 막힘
- 후부 곡선에서의 운전
- 풍량이 시스템 최소 요구량보다 떨어질 때
- 덕트 댐퍼 급폐, 필터 막힘 등 저항 증가
✅ 문제 증상
- 팬 진동, 소음 증가, 축계 파손
- 풍량 역류 → 덕트 내 불안정 유동
- 팬 모터 과열, 기동 불능
✅ 해결방안
- 바이패스 댐퍼 or 릴리프 댐퍼 설치
- 덕트 설계 시 최소 풍량 유지 보장
- 팬 커브 설계 시 BEP 내 운전점 설정
- 서징 방지용 재순환 루프 도입
냉동기(Chiller)의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주로 원심식 냉동기(Centrifugal Chiller)에서 발생
✅ 발생 원인
- 증발기와 응축기 간 압력차 과다
- 저부하 운전 시 유량 부족
- 냉매 흐름 불안정 (증발기 냉매 과다 or 부족)
- 냉각수 측 온도 상승 → 응축기 압력 증가
✅ 문제 증상
- 냉동기 내부 압력 진동, 소음
- 운전 불안정 → 빈번한 정지/재기동
- 장비 내부 손상 (디퓨저, 임펠러 파손 위험)
✅ 해결방안
- 저부하 운전 시 유량 확보 (Bypass or VFD 제어)
- 응축기 냉각수 온도 제어 강화
- 냉매 충전량 및 압력 정기 점검
- 실시간 압력센서 기반의 자동제어 시스템 운영
스프링 방식 장치 (스프링 리턴 댐퍼, 체크밸브 등) 서징현상 원인 및 해결방안
✅ 발생 원인
- 댐퍼·밸브가 스프링 힘으로 복귀 시 과도한 압력 상승
- 유체 흐름 방향 제어 실패 → 역류
- 고속 개폐 반복 시 유량 진동 유도
- 스프링 강성 과대 or 과소 설계
✅ 문제 증상
- 밸브 진동, 개폐 지연
- 유량이 스프링 반력과 충돌하면서 역압 발생
- 댐퍼 찢어짐, 링크 손상
✅ 해결방안
- 스프링 강도 조절 (댐핑 기능 포함 설계)
- 댐퍼 개폐 속도 조절기(Damper Actuator with Damping) 적용
- 역류 방지용 체크밸브 보강
- 유량 완충 장치(Flow Stabilizer) 설치 고려
기계설비별 서징현상 차이점 비교정리


기계설비별 서징현상 차이점을 비교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발생 원인 | 문제 증상 | 방지 방안 |
압축기 | 유량 부족 + 고정압 운전 | 진동, 역류, 모터 트립 | RC 라인, BEP 운전, 자동제어 |
송풍기 | 후부 곡선 운전, 급폐동작 | 소음, 팬 손상 | 댐퍼 제어, 인버터 제어, 바이패스 |
냉동기 | 부하 급변, 압력차 과다 | 냉매 역류, 정지 | VFD 제어, 압력관리, 냉매량 점검 |
스프링계열 | 스프링 오작동, 급개폐 | 밸브·댐퍼 진동, 손상 | 댐퍼 감쇠기, 강도보정, 흐름조절기 |
서징은 설비 종류별로 양상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운전 조건이 불안정하거나, 유량이 시스템 최소치보다 낮을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초기 설계단계에서부터 서지 구간을 피하는 운영조건 분석과 제어계 설계가 매우 중요합니다.
더 알아보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