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서도 출제된
신축건물 준공 시, 건축기계설비 분야에서 시공사가 건축주에게 인수인계할 때
반드시 제출하고 확인해야 할 서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단순히 “도면과 시운전 확인서만 넘기면 된다”는 생각은 이제는 맞지 않습니다.
기계설비법, 건축법, 에너지 관련 인증까지 연계된 문서들이 체계적으로 준비되어야
책임있는 인수인계가 성립되며, 향후 유지관리 단계의 문제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1. 준공 인수인계 시 확인해야 할 주요 서류 항목
구분 | 서류명 | 주요 내용 |
① 설계 및 시공 도서 | 준공도서(As-Built Drawing) | 실제 시공된 도면으로, 변경 이력 반영 |
② 장비 및 기기 정보 | 기계설비 장비 목록표 | 모델명, 용량, 제작사, 설치위치 포함 |
③ 성능 및 시험결과 | 시운전 결과 보고서 | 시스템별 시운전 결과값, 이상 유무 기록 |
④ 성능확인 및 적합성 증빙 | 성능시험 성적서 | 냉동기, 펌프, 공조기 등 주요 기기의 공장 성능시험서 |
⑤ 법정확인서 | 기계설비 사용전 검사확인서 | 「기계설비법」에 따른 사용전 검토 및 점검 결과 |
⑥ 제품자료집 | 카탈로그, 취급설명서 | 주요 기자재의 정비, 작동 설명서 |
⑦ O&M 매뉴얼 | 운전·유지관리 매뉴얼 | 장비 운전방법, 점검주기, 정비내용 포함 |
⑧ BEMS 및 제어 시스템 문서 | 제어 로직 도식도, BEMS 매뉴얼 | 자동제어 구성, 로직 흐름, 감시화면 구성 등 |
⑨ 에너지 성능 관련 문서 | ZEB / G-SEED 관련 성능 제출서류 | 설계 및 실측 데이터 비교, 인증 대응용 |
⑩ 검수 기록 | 자재 검사 및 설치 확인서 | 주요 자재 입고·설치·완료 일자 및 품질 점검 |
2. 실무에서 특히 중요하게 보는 문서
✅ 준공도서(As-Built)
실제 시공된 상태를 정확히 기록해야 향후 유지관리·증축·교체 작업이 가능
→ 모든 배관, 덕트, 전원선, 제어선, 접속 위치까지 반영
✅ O&M 매뉴얼
사용자(건물 관리자)가 기기를 올바르게 운전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핵심 문서
→ 기기의 유지보수 주기, 필터 교체 시기, 오류코드 대응방식 등 상세히 기술 필요
✅ 기계설비 사용전 검사 확인서
「기계설비법」 제정 이후, 일정 규모 이상 설비는 ‘사용전 확인’을 받아야 준공 가능
→ 해당 서류 없이는 건축물 사용승인 자체가 지연될 수 있음
결론
신축 건물 준공 시
건축기계설비 분야 인수인계 문서는 단순 준공도면이나 시운전 결과만이 아니라,
설계·시공·운전·유지관리까지 포괄한 총체적 기술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 문서들이 제대로 작성되어 있어야
- 기계설비법 대응
- ZEB/G-SEED 인증
- 시설팀의 운영 효율성 확보
가 가능해지고,
결국 건물의 생애주기 비용(LCC)을 줄이는 기초가 됩니다.
더 알아보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_용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사용계획서 제출대상은? (0) | 2025.04.06 |
---|---|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서 TDR 정의 및 적용대상 (0) | 2025.04.06 |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0) | 2025.04.06 |
베이크아웃 뜻 (0) | 2025.04.06 |
열역학 0,1,2,3 법칙은? (0) | 2025.04.06 |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7가지 (0) | 2025.04.06 |
커미셔닝이란? TAB와의 차이점 (0) | 2025.04.06 |
그린리모델링이란?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