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계설비기술사_용어설명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7가지

by 척척기술사 2025. 4. 6.
  1.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2.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7가지
    1. ✅ 건구온도선 (Dry-bulb Temperature)
    2. ✅ 절대습도선 또는 비습선 (Humidity Ratio or Specific Humidity)
    3. ✅ 상대습도선 (Relative Humidity)
    4. ✅ 이슬점선 (Dew Point Line)
    5. ✅ 습구온도선 (Wet-bulb Temperature)
    6. ✅ 엔탈피선 (Enthalpy Line)
    7. ✅ 비체적선 (Specific Volume)
  3.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비교표
  4. 더 알아보기 〉〉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오늘은 습공기선도(Psychrometric Chart)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구성요소 7가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습공기선도는 공기 속의 온도, 습도, 엔탈피, 비습, 포화조건 등 열역학적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그래프로, 공조설계, 냉난방 부하 산정, 쾌적성 평가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7가지

건구온도선 (Dry-bulb Temperature)

  • 수평 방향의 축
  • 우리가 흔히 말하는 **기온(공기 온도)**을 의미
  • 단위 : ℃
  • 오른쪽으로 갈수록 온도 상승

절대습도선 또는 비습선 (Humidity Ratio or Specific Humidity)

  • 수직 방향의 축
  • 공기 1kg에 포함된 수증기의 무게 (g/kg-dry air)
  • 단위 : g/kgDA
  • 위로 갈수록 수증기량 증가

 상대습도선 (Relative Humidity)

  • 곡선 형태로 나타나며, 100% 곡선이 포화선
  • 100% RH 곡선은 포화 공기의 상태를 나타냄
  • RH 10%, 30%, 50%, 70% 등 다양한 곡선이 존재
  • 상대습도는 포화수증기량 대비 현재 수증기량 비율

이슬점선 (Dew Point Line)

  • 수증기가 응결되기 시작하는 온도
  • 비습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건구온도를 낮추다 보면 닿는 온도
  • 수평선상에서 왼쪽으로 가면 이슬점에 가까워짐
  • 결로 위험 판단 시 활용

습구온도선 (Wet-bulb Temperature)

  • 곡선 형태로, RH 곡선과 교차
  • 건구온도보다 항상 같거나 낮음
  • 증발 냉각, 제습기, 증기식 가습기 설계에 중요
  • 같은 습구온도선상에서는 엔탈피 값도 동일

엔탈피선 (Enthalpy Line)

  • 습공기 1kg이 가진 열에너지 총량 (kJ/kg)
  • 보통 습구온도선과 평행
  • 냉난방 부하 계산에 필수
  • 단위 : kJ/kgDA

비체적선 (Specific Volume)

  • 공기 1kg이 차지하는 부피 (m³/kg)
  • 곡선 형태이며, 습도 및 온도에 따라 변화
  • 송풍기, 덕트 설계 시 사용

 

 

 

습공기선도 구성요소 비교표

습공기선도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설명을 표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성요소 설명 주요 활용
건구온도 공기 온도 일반 냉난방 설정
비습 수증기량 제습, 가습 설계
상대습도 포화비율 쾌적성, 결로 판단
이슬점 응결 시작 온도 결로 방지
습구온도 증발 냉각 지표 가습, 에너지 회수
엔탈피 열량 냉난방 부하 계산
비체적 공기 밀도 반비례 송풍량, 덕트 설계

 

이 7가지 요소만 이해하면, 습공기선도를 통한 공조 설계와 쾌적성 분석의 핵심 흐름을 잡을 수 있습니다.

 

 

습공기선도 구성요소습공기선도 구성요소

 

 

 

 

더 알아보기 〉〉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무료 다운받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기출문제 바로 다운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