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드래프트 원인/방지대책
오늘은 2023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
건물에서의 Cold Draft(콜드 드래프트)에 대해
정의, 발생원인, 방지대책 3가지 관점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Cold Draft는 열 쾌적성 저해, 에너지 낭비, 민원 유발로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실내 환경 이슈입니다.
콜드드래프트 정의
Cold Draft(콜드 드래프트)란,
창호나 벽면 근처에서 찬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냉기 흐름이 발생해 거주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현상을 말합니다.
콜드 드래프트는 마치
겨울에 두꺼운 옷을 입고 있어도, 창문 틈에서 들어오는 찬바람 한 줄기가
내 몸을 스치면 그 자리가 오싹해지는 느낌입니다.
전체 공간이 따뜻하더라도,
그 한 줄기의 냉기 때문에 전체 온열쾌적성이 떨어지는 것이죠.
일반적으로는
- 창문에서 유입되는 미세한 찬 바람
- 차가운 표면 인근에서 발생하는 하강기류
이 두 가지가 합쳐져 사람에게 ‘춥고 거슬리는 느낌’을 주는 형태로 인식됩니다.
PMV, PPD 지표에서도 Local Discomfort로 분류되며,
온열쾌적성 측면에서 매우 민감하게 작용합니다.
콜드드래프트 발생원인
1. 유리창 근처의 복사열 손실
- 외기와 접한 창 유리가 차가울 경우
- 인근 인체가 복사로 열을 빼앗기면서 한기감 유발
2. 찬 공기의 하강류 형성
- 외벽이나 창호 인근의 공기 냉각 → 밀도 증가 → 하강기류 형성
- 특히 고층건물, 유리 파사드 건물에서 자주 발생
3. 틈새기류(Infiltration)
- 창문, 도어, 커튼월 등 기밀성이 낮은 부위로 외기 유입 시 국부 찬기류 발생
4. 설비 불균형
바닥난방 미설계, 창 측 난방 부족, 전열교환기 미작동 등으로
실내 전체는 따뜻하지만, 국부적으로 차가운 공기 분포 형성
콜드드래프트 방지대책
1. 이중창호 또는 고단열창호 적용
- 복층 유리, 로이유리, 기밀성 향상 창호 사용
- 외기 냉기 유입 차단 및 복사열 손실 최소화
2. 코일 히터나 퍼니스 등 창가 전용 난방설계
- 외기 접촉면 근처에 열원 공급
- 하강기류 차단 및 냉복사 방지
3. 실내 공기 순환 유도
- FCU, 바닥송풍구, 온풍기 등으로 창 측 저온 공기의 정체를 막고, 온도 균형 유도
4. 고기밀 시공 및 커튼월 세부 시공 개선
- 창틀 주변의 기밀테이프, 실링제, Gasket 보완 틈새기류 유입 차단
5. ZEB 및 G-SEED 고려 설계 시, 창측 열환경 사전 시뮬레이션
- 에너지모델링(BIM + CFD)을 통해 창측 하강기류 사전 예측
- 설비배치 최적화
결론


정리해보자면,
Cold Draft(콜드 드래프트)는
실내에서 느껴지는 지역적 찬 기류나 냉복사로 인해
사람이 불쾌하고 춥다고 느끼는 현상입니다.
콜드드래프트에 대해 전체적으로 표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 내용 |
정의 | 실내 국부에서 발생하는 찬 공기 흐름 또는 냉복사 |
원인 | 차가운 창면, 하강기류, 틈새기류, 설비 미비 |
대책 | 고단열창호, 창측 난방, 기밀 시공, 공기순환 설계 |
콜드 드래프트는 실내 환경 만족도를 결정짓는 미세한 요소이지만,
사람이 공간을 ‘쾌적하다’ 또는 ‘추워서 불편하다’고 판단하게 만드는 결정적 요인입니다.
더 알아보기 〉〉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무료 다운받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기출문제 바로 다운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