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기구 정의와 설치기준
위생기구는 건축설비 분야에서 필수적인 항목이지만,막상 기준이나 정의를 명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실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의부터 법적 기준, 분류 체계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위생기구 정의 위생기구(Sanitary Fixture, 또는 위생기기)는인체의 위생을 유지하거나 생활에서 물을 사용하는 행위를 위해 설치되는 설비 기구를 말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세면기, 양변기, 욕조, 주방 싱크대, 소변기 등이 있고,건물 내에서 급수와 배수를 동반하는 사용기기 대부분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쉽게 말해,물 받아서 쓰고, 다시 흘려보내는 모든 ‘생활용 수세 기구’가 위생기구입니다. 이 기구들은 모두 급수설비, 배수설비, 통기관과 연동되어건축설비 시스템의 한 축을 이루게 됩니다. ..
2025. 3. 24.
표준품셈제도 vs 표준시장단가 제도
표준품셈제도 vs 표준시장단가 제도 이 두 제도는 공공공사에서 공사비를 산정할 때 기준이 되는 매우 중요한 제도입니다.현장에서 설계변경, 적산, 입찰 전략 등과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헷갈리지 않고 명확히 구분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준품셈제도란?개념표준품셈은 공사를 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 장비, 재료의 단위당 투입량을 정해놓은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를 1㎥ 타설할 때 필요한노동자 수, 시간, 펌프 장비 사용 시간, 몰탈량 등을 정해놓은 것이죠. 즉, “이 정도 일 하려면 이 정도가 들어간다”는 공종별 작업량 산정 기준입니다. 이 기준을 바탕으로 공사비를 산정할 때는물가정보(노임단가, 자재단가, 장비단가 등)작업조건(지하인지, 고소작업인지 등)이런 변수들을 곱해서 공사금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2025. 3. 24.
생애주기비용(LCC)란?
생애주기비용(LCC)이란? 설비를 하나 설치할 때,우리는 보통 초기 설치비용만을 가지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그게 아닙니다.설치하고 나서 운전하고, 고치고, 유지보수하고, 전기요금 내고,결국 철거하고 폐기하는 그날까지 들어가는 비용 전체를 보는 게 맞습니다. 이렇게 설비가 태어나서부터 사라질 때까지 드는 모든 비용을 계산한 것이 바로생애주기비용, 영어로는 Life Cycle Cost, 줄여서 LCC라고 부릅니다. LCC 구성항목 LCC는 크게 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초기 설치비용 (Initial Cost)장비 구입비, 공사비, 설계비 같은 초기 투자금운영비용 (Operating Cost)전기, 가스, 수도 등 에너지 사용료유지보수비 (Maint..
2025.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