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70

배관에 발생하는 일시경도 vs 영구경도 차이점은? 썸네일 배관에 발생하는 일시경도 vs 영구경도 차이점은? 오늘은 수처리, 냉각수, 보일러 급수 관리에서 자주 등장하는 경도(Hardness) 중에서도 일시경도(Temporary Hardness)와영구경도(Permanent Hardness)의 개념과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두 개념은 단순히 숫자가 다른 것이 아니라,수질 처리 방식과 스케일 방지 대책에 직결되는 핵심 기준입니다.     경도란? 경도(Hardness)란물 속에 포함된 칼슘(Ca²⁺), 마그네슘(Mg²⁺) 등의 양이온이비누의 거품 형성이나 스케일 생성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말합니다. → 경도가 높을수록 비누가 잘 풀리지 않고,보일러나 냉각탑 계통에서는 스케일(물때) 형성 위험이 높아집니다.       일시경도 (Temporary Hardness)일시경도는물 속의 탄산수소염(HCO₃⁻)이 칼슘 또.. 2025. 3. 30.
안전밸브 vs 릴리프밸브 차이점 썸네일 안전밸브 vs 릴리프밸브 차이점 안전밸브(Safety Valve) vs 릴리프밸브(Relief Valve) 차이점은 뭘까요? 오늘은 설비배관에서 압력 과승을 방지하는 핵심 안전장치,안전밸브(Safety Valve)와 릴리프밸브(Relief Valve)의 개념과 특징,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두 밸브는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작동 방식·용도·설계 기준에서 엄연히 다르며,잘못 적용되면 압력 폭주나 장비 파손 같은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밸브(Safety Valve)란?안전밸브는내부 압력이 설정값 이상으로 올라갔을 때, 급격하게 열려 압력을 순간적으로 배출하는 장치입니다. 주로 기체계(증기, 공기, 가스 등)의 급격한 압력 상승을 막기 위해 사용되며,즉각적이고 전량 개방(full lift)이 특징입니다. 용도 :.. 2025. 3. 30.
유량제어밸브에서 어소리티란? 썸네일 유량제어밸브에서 어소리티란? 오늘은 밸브 선정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핵심 개념,바로 유량제어밸브 어소리티(Authority)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밸브는 단순히 유량만 조절하는 게 아니라,설계 유량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반응하는지가 성능을 좌우합니다.이때 어소리티는 “밸브가 유량 제어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을 수치로 표현한 값입니다.      밸브 어소리티란?유량제어밸브 어소리티(Authority)는전체 유량회로에서 밸브의 압력손실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즉, 밸브가 얼마나 제어에 ‘지배적인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공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Authority (A) = ΔP_valve / (ΔP_valve + ΔP_system) 여기서 각 기호별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ΔP_valve : 밸브 .. 2025. 3. 30.
대수평균온도차(LMTD)란? 썸네일 대수평균온도차(LMTD)란? 오늘은은 열교환기 계산의 핵심이자, 냉온수코일, 콘덴서, 증발기, 판형 열교환기 등에서 반드시 사용되는 대수평균온도차(LMTD, Log Mean Temperature Difference)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단순한 평균 온도차가 아닌 열교환 면 전체의 실제 유효한 평균 온도차를수학적으로 정밀하게 표현한 개념입니다.    대수평균온도차란?LMTD(Log Mean Temperature Difference)는열교환기의 입·출구 온도차가 구간마다 다를 때,전체 열교환 면에 걸쳐 ‘일정한 온도차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평균값’을대수함수를 이용해 계산한 온도차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LMTD = (ΔT₁ - ΔT₂) / ln(ΔT₁ / ΔT₂) 여기서 기호별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ΔT₁ : 열교.. 2025. 3. 30.
예상평균온열감(PMV)과 예상불만족율(PPD) 개념/관계 정리 썸네일 예상평균온열감(PMV)과 예상불만족율(PPD) 개념/관계 정리 오늘은 쾌적성 지표의 대표격인 PPD와 PMV,즉 예상불만족율(Predicted Percentage of Dissatisfied)과예상평균온열감(Predicted Mean Vote)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두 지표 모두 실내 열환경의 적정성, 즉 사람들이 얼마나 ‘덥거나 춥지 않게’ 느끼는지를수치로 표현한 기준입니다. HVAC 설계, 실내환경 인증, 친환경건축 인증 등다양한 분야에서 필수로 사용됩니다.      예상평균온열감 (PMV, Predicted Mean Vote) PMV는 특정한 실내 환경 조건(온도, 습도, 복사온도, 공기속도 등)에서사람들이 평균적으로 어떤 온열감을 느끼는지를 -3 ~ +3의 7단계 척도로 표현한 값입니다. PMV 값열적 감각+3매우 덥다+2덥다+1약간 덥다0쾌적하다 (중립.. 2025. 3. 30.
메탄가스의 특징/활용분야 썸네일 메탄가스의 특징/활용분야 오늘은 연소, 에너지, 환경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메탄가스(Methane, CH₄)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장 단순한 구조의 탄화수소이자,천연가스의 주성분이며, 온실가스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메탄은에너지 자원과 기후변화 이슈의 경계선에 있는 물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메탄가스란? 메탄(Methane)은 화학식 CH₄로 표현되는가장 간단한 형태의 탄화수소 기체입니다.탄소 원자 1개와 수소 원자 4개가 결합된 구조로,상온·상압에서 무색·무취·가연성 기체로 존재합니다.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해보자면메탄은 ‘가장 단순한 연료 덩어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수소가 많은 구조라서 불을 붙이면 잘 타고 열도 많이 나지만,연소 후에는 대부분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만 남기 때문에상대.. 2025. 3. 30.
비교회전수와 임펠러 형상과의 관계 썸네일 비교회전수와 임펠러 형상과의 관계 오늘은 펌프나 송풍기 설계에서 꼭 등장하는 핵심 개념인비교회전수(Specific Speed)와 임펠러 형상 간의 관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개념은 단순한 공식 외우기가 아니라,임펠러의 외형이 왜 그렇게 생겼는지를 설명해주는 수학적 언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교회전수란?비교회전수(Specific Speed, Ns)는 펌프 또는 팬이 단위 양정(또는 압력)에서 낼 수 있는 유량을 기준 회전수로 환산한 값입니다. 즉, 양정·풍압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누가 더 많은 유량을 낼 수 있는지를속도(회전수)로 환산해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송풍기 기준으로 보면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Ns = n × √Q / H^(3/4) 여기서 각 문자별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Ns : 비교회전수n : 회전수 .. 2025. 3. 30.
우수배관 뜻/구성/설계기준/고려사항/특징/문제점 썸네일 우수배관 뜻/구성/설계기준/고려사항/특징/문제점 오늘은 건축설비 중에서도 배수계통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는우수배관(Rainwater Drainage Piping)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단순히 ‘비만 내려가게 하는 관’이 아니라,폭우, 옥상 침수, 누수, 역류 등을 막기 위한 핵심 설비입니다.특히 최근 기후변화로 강우량이 급증하면서 더욱 정밀한 설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우수배관이란?우수배관은건물 옥상이나 외부 바닥, 발코니 등에서 발생한 빗물(우수)을하수관이나 우수정으로 안전하게 유도해 배출하는 관로 시스템입니다. 건축물의 ‘눈에 보이지 않는 배수 통로’로,건물 내부로 물이 스며들거나 역류하지 않도록중력 또는 압력차를 이용해 흐르게 만드는 배관입니다.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해보자면건물이 우산이라면, 우수배관은 .. 2025. 3. 30.
오프셋 배관이란? 썸네일 오프셋 배관이란? 오늘은 배관 설계나 시공 도면에서 자주 등장하는오프셋 배관(Offset Piping)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도면상에는 단순한 굴곡처럼 보이지만,기계실, 천장 내부, 덕트 간섭을 피하기 위한 배관의 필수적 테크닉입니다.      오프셋 배관이란?오프셋 배관이란 장애물이나 구조물을 피하기 위해직선 배관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꺾어서 설치하는 배관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엘보 2개를 사용해 방향을 바꾼 뒤 다시 원래 방향으로 복귀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이렇게 꺾이는 구간을 오프셋(offset)이라 부릅니다.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해보자면일직선으로 놓인 고무호스를앞에 있는 돌멩이를 피해 잠깐 비켜가게 만들고,다시 원래 방향으로 돌리는 것과 같습니다. 즉, 배관도 장애물을 만나면한 번 방향을 꺾고,.. 2025. 3. 30.
열관류저항(Total Thermal Resistance, R-value)이란? 썸네일 열관류저항(Total Thermal Resistance, R-value)이란? 오늘은 건축설비, 단열 설계, 에너지 성능 평가에서 꼭 등장하는 개념,열관류저항(Total Thermal Resistance, R-value)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개념은 ‘열전도저항’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건축 외피 전체를 관통하는 열 흐름 전체를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단일 재료가 아닌 ‘전체 구성층’을 고려하는 데 쓰입니다.     열관류저항이란? 열관류저항은건축 부위(외벽, 지붕, 바닥 등)를 관통하는 전체 열 흐름에 대한 저항의 합을 의미합니다. 즉, 외벽을 구성하는 내부 표면 + 각 재료층 + 외부 표면까지 모두 고려한‘전체 단면 기준의 열저항 총합’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R_total = R_si + ∑(L_i / k_i) + R_so 여기서 각 기호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 2025. 3. 30.
열전도저항(Thermal Resistance)이란? 썸네일 열전도저항(Thermal Resistance)이란? 오늘은 열교, 단열, 열손실 계산에 필수적으로 등장하는열전도저항(Thermal Resistance)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개념은 공조설비, 건축물 단열 설계, 배관 보온, 냉동장비 해석까지열 흐름을 수치적으로 제어해야 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핵심 원리입니다.       열전도저항이란?열전도저항은재료 내부에서 열이 흐르기 어렵게 만드는 ‘열 흐름에 대한 저항’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전기회로에서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전기저항이라면,열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열전도저항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R = L / k 여기서 각 기호가 의미하는바는 다음과 같습니다.R : 열전도저항 (㎡·K/W)L : 재료의 두께 (m)k : 열전도율 (W/m·K)※ 열전도율 k가 클수록 .. 2025. 3. 29.
보일-샤를의 법칙이란? 썸네일 보일-샤를의 법칙이란? 오늘은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을 통합한 개념,바로 보일-샤를의 법칙(Boyle–Charles’s Law) 또는 기체 상태방정식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이 법칙은 공조, 냉동, 유체 시스템 등 기체가 사용되는 거의 모든 설계에 적용되는기체의 압력(P), 부피(V), 온도(T) 사이의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한 기본 방정식입니다.    보일-샤를의 법칙이란? 보일-샤를의 법칙은기체의 압력, 부피, 온도 사이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나타낸 상태 방정식입니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P × V / T = 일정 (상수)  여기서 각 기호별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P : 압력V : 부피T : 절대온도(K, 켈빈) 이 관계를 바탕으로 한 기체 상태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일반화됩니다.P₁ × V₁ / T₁ =.. 2025.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