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예상평균온열감(PMV)과 예상불만족율(PPD) 개념/관계 정리

by 척척기술사 2025. 3. 30.
    반응형

     

    오늘은 쾌적성 지표의 대표격인 PPD와 PMV,
    즉 예상불만족율(Predicted Percentage of Dissatisfied)과
    예상평균온열감(Predicted Mean Vote)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두 지표 모두 실내 열환경의 적정성, 즉 사람들이 얼마나 ‘덥거나 춥지 않게’ 느끼는지를
    수치로 표현한 기준입니다. HVAC 설계, 실내환경 인증, 친환경건축 인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로 사용됩니다.

     

     

     

     

     

     

    예상평균온열감 (PMV, Predicted Mean Vote)

    PMV, PPD 이미지 설명PMV, PPD 이미지 설명

     

    PMV는 특정한 실내 환경 조건(온도, 습도, 복사온도, 공기속도 등)에서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어떤 온열감을 느끼는지를 -3 ~ +3의 7단계 척도로 표현한 값
    입니다.

     

    PMV 값 열적 감각
    +3 매우 덥다
    +2 덥다
    +1 약간 덥다
    0 쾌적하다 (중립)
    -1 약간 춥다
    -2 춥다
    -3 매우 춥다

     

    즉, 실내 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 환경에서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몇 점 정도의 온열감 평가를 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예상불만족율 (PPD, Predicted Percentage of Dissatisfied)

    PPD는 해당 PMV 값에서 실내환경에 ‘불만족’을 느끼는 사람의 비율(%)을 예측한 값입니다.

     

    공식적으로는 PMV 값에 기반한 통계 함수로 도출되며,
    PMV가 0에 가까울수록 PPD도 낮아지고,
    PMV가 ±1을 벗어나면 PPD는 급격히 증가합니다.

     

    PMV 범위 PPD 값(%)
    0 약 5%
    ±0.5 약 10%
    ±1.0 약 25%
    ±2.0 약 75%
    ±3.0 약 100%

     

    즉, 아무리 환경을 최적화해도 최소 5% 정도는 불만족을 느낀다는 뜻입니다.

     

     

    PMV는 ‘사람들이 몇 점짜리 온열감으로 평가할까?’라는 주관적 점수이고,
    PPD는 ‘그중 몇 %가 불편하다고 말할까?’라는 불만족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PMV가 -0.2라면 약간 쌀쌀하지만 대부분 쾌적한 정도이고,
    PPD는 6~7% 수준으로, 거의 모든 사람들이 환경에 만족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두 지표의 차이 정리

    항목 PMV PPD
    의미 평균 온열감 점수 불만족 인원 비율 (%)
    범위 -3 ~ +3 5% ~ 100%
    형태 주관적 쾌적성 지수 객관적 불만족률 예측
    기준 0이 이상적 중립점 5% 이하가 최적 목표
    용도 HVAC 성능 평가, 쾌적성 설계 인증기준, 불만족 최소화 기준
    상관관계 PMV와 PPD는 함수 관계 PMV 0 → 최소 PPD 약 5%

     

     

     

     

     

    PMV, PPD 실무 적용 예시

    • 녹색건축인증, LEED, WELL : PMV -0.5 ~ +0.5, PPD ≤ 10% 기준
    • 공조설계 : 실내 온습도 조절 목표 수립 시 PMV/PPD 적용
    •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 센서데이터로 PMV 자동계산
    • 에너지절약형 HVAC 운영 : PMV 0 근처를 유지하면서 에너지 소비 최적화

     

     

     

     

    마무리

    PMV는 사람들이 실내 온도·습도·복사·기류 등을 느끼는 ‘체감 점수’이고,
    PPD는 그 환경에서 실제로 ‘불만족할 가능성이 있는 인원 비율’입니다.

     

    이 둘은 한 쌍으로 사용되며,
    쾌적성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HVAC 설계에서
    실내환경의 정량적 기준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핵심 지표
    입니다.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모음 (25년 3월 업뎃)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모음서브노트 만들고는 싶은데 레퍼런스가 없으신 분들을 위해직접 만들었습니다. 1교시 용어 문제에 대한 서브노트를 만들었구요.(서술문제는 각자 알아서...)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126회~135회)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기술사 시험 합격에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백지에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아래의 3개년 기술사 기출문제를 보시고본인이 과연 어느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