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68

이코노마이저시스템이란? 썸네일 이코노마이저시스템이란? 오늘은 공조설비와 에너지절약 설계에서 자주 등장하는이코노마이저 시스템(Economizer System)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시스템은 말 그대로 에너지(Energy)를 아끼는(Economize) 장치로,외기의 조건이 유리할 때 기계설비 대신 자연 외기를 활용해 실내 냉방 또는 환기를 수행함으로써냉동기 가동 시간을 줄이고 에너지 소비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방식입니다.    이코노마이저 시스템이란?이코노마이저 시스템은외기의 온도 또는 엔탈피가 실내보다 낮을 경우, 외기를 직접 도입해냉방부하나 환기부하를 줄이는 공조 운전 방식입니다. 특히 환절기나 야간처럼 외기가 차가운 경우,냉동기를 가동하지 않고도 외기만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에너지 절감 효과가 매우 큽니다.  이코노마이저는 마치겨울철에 보일.. 2025. 3. 31.
설비 비례제어운전이란? 썸네일 설비 비례제어운전이란? 오늘은 냉·난방, 펌프, 댐퍼, 밸브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정밀 제어 방식,비례제어운전(Proportional Control Operation)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비례제어운전방식은 단순한 ON/OFF 제어가 아니라,설정값과 실제값의 차이에 따라 '비율'만큼만 출력을 조절하는 운전 방식으로,정밀한 온도 제어, 에너지 절감, 제어 안정성 확보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비례제어운전이란?비례제어(Proportional Control)란제어 대상의 설정값(Set point)과 실제 측정값(Process value)의오차(편차, Error)에 비례해서 출력을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온도를 24℃로 맞추고 싶을 때현재 온도가 20℃면 제어량을 크게 출력하고,23.5℃면 제어량을 아.. 2025. 3. 31.
대수분할운전이란? 썸네일 대수분할운전이란? 오늘은 냉난방 설비, 펌프 시스템, 보일러 운전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대수분할운전(台數分割運転, Staged Operation)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개념은 특히 부분부하 운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설비 운전 전략으로서,단일 대형 설비보다 소형 다대(多台) 설비를 조합하여 운전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대수분할운전이란?대수분할운전이란전체 부하를 감당하기 위해 대형 장비 1대를 사용하는 대신,2대 이상 다수의 소형 장비로 나누어 운전하는 방식입니다. 즉, 필요한 부하만큼만 설비를 단계적으로 가동하거나 정지시켜,부분부하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낭비를 줄이기 위한 운전 방식입니다. 가장 흔한 예가 보일러, 냉동기, 펌프 등의 1차 회로 구성에서의 다대 병렬운전입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 2025. 3. 31.
에너지소요량 평가서 작성방법 썸네일 에너지소요량 평가서 작성방법 오늘은 실무에서 꼭 필요한에너지소요량 평가서 작성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문서는 단순한 계산 결과가 아니라,설계의 에너지 성능을 수치화해서 평가기관에 제출하는 공식 기술 문서입니다.특히 에너지절약계획서,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ZEB 사전·사후 인증,녹색건축인증 등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며,설계자 또는 기계설비기술사의 검토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에너지소요량 평가서란?에너지소요량 평가서는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연간 총량을 산정하고,해당 건물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보고서입니다. 국토교통부, 한국에너지공단, 건축물에너지평가센터 등에서공식 포맷과 검토기준을 정해놓고 있으며,건축허가 단계나 인증 신청 시 제출이 요구됩니다.  이를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 2025. 3. 31.
빗물이용시스템이란? 썸네일 빗물이용시스템이란? 오늘은 도시 물 순환 체계, 친환경 인증, 물 절약 설계에서 자주 등장하는빗물이용시스템(Rainwater Harvesting System)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시스템은 단순히 물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빗물을 일정 수준 처리해서 화장실세정, 조경, 청소 등에 재사용하도록 구성된친환경 설비이자, 도시 물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빗물이용시스템이란?빗물이용시스템은건물 지붕이나 옥상, 포장면 등에 떨어진 빗물을 모아 저장하고,필요한 수준으로 정수·여과한 뒤, 생활용수의 일부로 활용하는 설비입니다. 주로 변기 세정수, 조경 관수, 청소용수 등 비음용용도로 쓰이며,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물 절약, 환경보전, 홍수 저감 목적으로 도입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 2025. 3. 31.
캐스케이드 보일러란? 썸네일 캐스케이드 보일러란? 오늘은 에너지 효율성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자주 채택되는,캐스케이드 보일러(Cascade Boiler) 시스템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기존 대형 보일러 1대로 운전하던 방식에서 벗어나,여러 대의 소형 보일러를 직렬 또는 병렬로 구성해 유량·부하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전하는 방식입니다.캐스케이드 보일러는 특히부분부하 효율, 백업 운전, 초기비용 절감 등의 이점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캐스케이드 보일러란?캐스케이드 보일러는2대 이상(보통 3~8대)의 중소형 보일러를 병렬로 연결한 시스템으로,난방부하나 온수수요에 따라 보일러를 단계별로 ON/OFF 또는 비례제어하는 구조입니다. 이 방식은 각 보일러가 부분부하 구간에서 고효율 운전하도록 하여전체 시스템 효율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 2025. 3. 31.
설계도서, 법령해석, 감리지시사항의 우선순위는? 썸네일 설계도서, 법령해석, 감리지시사항의 우선순위는? 설계도서, 법령해석, 감리지시사항의 우선순위는?현장에서는 종종“도면에는 이렇게 되어 있는데, 감리자가 바꾸라고 했습니다.”“감리 말대로 하면 법령 위반 아닌가요?”와 같은 갈등이 생기곤 합니다. 이럴 때 어떤 기준을 우선해야 하는지,법령상 근거와 실무 원칙에 따라 정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법령 > 설계도서 > 감리지시사항정답부터 말씀드리면,법령 > 설계도서 > 감리지시사항 순서로 우선합니다. ① 관련 법령 및 기술기준② 설계도서 (도면, 시방서 등)③ 감리지시사항 (시공감리) 이 순서는 「건설기술진흥법」, 「공공공사 표준도급계약서」,「감리업무 수행지침」 및 대법원 판례 등의 기준에 기반합니다.    각 항목별 해설각 항목별로 해설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법령 및 기술기준이 최우선건축법, 소방.. 2025. 3. 31.
[수익형 블로그 가이드] 2탄. 티스토리 관리창 세팅방법 정리 썸네일 [수익형 블로그 가이드] 2탄. 티스토리 관리창 세팅방법 정리 오늘은 수익형 블로그 가이드 2탄,티스토리 관리창 세팅 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아래는 제 블로그의 관리창 화면인데요. 위의 관리창 화면을 보시면 콘텐츠/챌린지/댓글·방명록/통계/수익/꾸미기/플러그인/링크/관리 메뉴 및 하위 메뉴들이 보이실텐데요.  각 메뉴별로 세팅해야 되는 항목들은 아래와 같으니블로그 포스팅 내용을 읽어보시면서 천천히 따라가보세요. 크게 어렵지 않으니 5분 이내에 세팅완료 하실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관리창 세팅방법  📃 콘텐츠글 관리 : 변경없음페이지 관리 : 변경없음카테고리 관리 : 변경없음공지 관리 : 변경없음서식 관리 : 변경없음설정 : 변경없음  📃 챌린지변경없음  📃 댓글 · 방명록댓글 관리 : 변경없음방명록 관리 : 변경없음설정 : "방명록 작성을 허용합니다 →.. 2025. 3. 31.
천장 내부 덕트/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 썸네일 천장 내부 덕트/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 오늘은 천장 내부(천정매입부)에 설치되는 덕트와 설비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구간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설비밀집 구간이면서 시공·보수 난이도가 높은 핵심 공간입니다.특히 병원, 호텔, 대형 상업시설일수록 여러 설비가 중첩되기 때문에초기 설계와 시공 시 간섭, 경사, 점검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천장 내부 시공이란?건물의 인테리어 마감 위(천장 속)에공기조화, 급·배수, 소방, 전기 등 다양한 설비를 집어넣는 시공을 말합니다.보통 다른 층으로의 침투 없이 설비를 배치해야 하고,건축 구조체와의 간섭 없이 효율적인 동선을 확보해야 하며,향후 유지관리까지 고려한 배치와 시공이 요구됩니다.   천장 속 시공은 마치 좁은 기내 수납함에캐리어, 배낭, 옷, 기내식 트레이까지 모두.. 2025. 3. 31.
배관설비공사 무용접 이종관 접합방법 썸네일 배관설비공사 무용접 이종관 접합방법 오늘은 배관설비공사에서용접 없이 서로 다른 재질(이종관)을 접합하는 방법인즉 무용접 이종관 접합기술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건축기계설비 시공 시,배관 재질이 스테인리스, 동관, 탄소강, 플라스틱 등 서로 다를 경우가 많습니다.이때 화재 위험 없이, 현장에서 빠르고 안정적으로 시공하기 위한 대안으로무용접 접합 방식이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무용접 이종관 접합방법이란? 무용접 이종관 접합이란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열(용접) 없이 기계적, 화학적 방식으로 연결하는 기술입니다.스테인리스와 탄소강, 동관과 PB관 등전기적 부식 가능성이나 열응력 차이로 인해 용접이 어렵거나 부적합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기존의 용접 방식이 불로 녹여 붙이는 방식이라면,무용접 접합은 클립이나 조인트, 압착 도구로 꽉 잡.. 2025. 3. 30.
배관에 발생하는 일시경도 vs 영구경도 차이점은? 썸네일 배관에 발생하는 일시경도 vs 영구경도 차이점은? 오늘은 수처리, 냉각수, 보일러 급수 관리에서 자주 등장하는 경도(Hardness) 중에서도 일시경도(Temporary Hardness)와영구경도(Permanent Hardness)의 개념과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두 개념은 단순히 숫자가 다른 것이 아니라,수질 처리 방식과 스케일 방지 대책에 직결되는 핵심 기준입니다.     경도란? 경도(Hardness)란물 속에 포함된 칼슘(Ca²⁺), 마그네슘(Mg²⁺) 등의 양이온이비누의 거품 형성이나 스케일 생성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말합니다. → 경도가 높을수록 비누가 잘 풀리지 않고,보일러나 냉각탑 계통에서는 스케일(물때) 형성 위험이 높아집니다.       일시경도 (Temporary Hardness)일시경도는물 속의 탄산수소염(HCO₃⁻)이 칼슘 또.. 2025. 3. 30.
안전밸브 vs 릴리프밸브 차이점 썸네일 안전밸브 vs 릴리프밸브 차이점 안전밸브(Safety Valve) vs 릴리프밸브(Relief Valve) 차이점은 뭘까요? 오늘은 설비배관에서 압력 과승을 방지하는 핵심 안전장치,안전밸브(Safety Valve)와 릴리프밸브(Relief Valve)의 개념과 특징,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두 밸브는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작동 방식·용도·설계 기준에서 엄연히 다르며,잘못 적용되면 압력 폭주나 장비 파손 같은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밸브(Safety Valve)란?안전밸브는내부 압력이 설정값 이상으로 올라갔을 때, 급격하게 열려 압력을 순간적으로 배출하는 장치입니다. 주로 기체계(증기, 공기, 가스 등)의 급격한 압력 상승을 막기 위해 사용되며,즉각적이고 전량 개방(full lift)이 특징입니다. 용도 :.. 2025.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