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배관설비공사에서
용접 없이 서로 다른 재질(이종관)을 접합하는 방법인
즉 무용접 이종관 접합기술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건축기계설비 시공 시,
배관 재질이 스테인리스, 동관, 탄소강, 플라스틱 등 서로 다를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화재 위험 없이, 현장에서 빠르고 안정적으로 시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무용접 접합 방식이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무용접 이종관 접합방법이란?
무용접 이종관 접합이란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열(용접) 없이 기계적, 화학적 방식으로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스테인리스와 탄소강, 동관과 PB관 등
전기적 부식 가능성이나 열응력 차이로 인해 용접이 어렵거나 부적합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기존의 용접 방식이 불로 녹여 붙이는 방식이라면,
무용접 접합은 클립이나 조인트, 압착 도구로 꽉 잡아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재질이 서로 달라도 물리적 힘이나 특수 부품을 활용하면
완전히 밀폐된 연결이 가능해집니다.
불이 필요 없기 때문에 소방안전, 유독가스 차단, 공정 단축에도 유리합니다.
주요 무용접 이종관 접합 방식
주요 무용접 이종관 접합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접합 방식 | 설명 | 특징 |
기계식 커플링 (Mechanical Coupling) | 고무패킹 + 금속 밴드로 밀폐 | 진동흡수, 재질 무관, 대구경 사용 가능 |
압착식 커넥터 (Press-fitting) | 전용 공구로 배관 외부를 압착 | 소형 배관에 적합, 빠른 시공 |
플랜지 조인트 (Flange Joint) | 이종재 연결 시 표준 플랜지 조합 | 볼트 체결, 교체·해체 용이 |
절연 유니온 (Dielectric Union) | 금속 배관 간 부식 방지용 절연층 포함 | 동 + 철배관 간 전기화학적 부식 방지 |
전용 어댑터/이음구 (Transition Fitting) | PVC–강관, PB–동관 등 재질별 전용 커넥터 | 수압·내구성 확보 필수 |
풀림방지 나사식 연결 | PTFE 테이프, 실런트 등 적용 | 간단하지만 내압·내진은 다소 불리 |
이종관 접합 예시
이종관 접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스테인리스 ↔ 탄소강 : 기계식 커플링, 절연 유니온
- 동관 ↔ PB/PVC관 : 전용 어댑터, 압착식 조인트
- 배관 ↔ 기기 연결부 : 플랜지 or 절연이음
- 소방배관 ↔ 환기덕트 : 나사이음 + 가스켓
시공 시 유의사항
접합 시공 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절연체 포함 여부 확인 : 이종금속 간 부식 방지용
- 패킹 재질 적합성 검토 : 유체 온도·압력에 따른 내열성
- 소방 설비 시 인증부품 사용 필수 : KFI 인증 등
- 수밀 시험 전 고정력 체크 : 기계식 연결 시 토크 확인
- 확장성 고려한 접합 방식 선택 : 해체 가능 여부 고려
실무 적용 예시
실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시공이 이루어집니다.
- 기계실 스테인리스 배관 ↔ 기기 입출구 탄소강 배관
→ 기계식 커플링 + 절연 유니온 적용 - 보일러 배관 동관 ↔ 온수 리턴 PB배관
→ 압착식 이음구로 무용접 연결 - 배수관 동관 ↔ 화학배관 PVC 계통
→ 트랜지션 피팅 + 실링 접합
마무리
무용접 이종관 접합 방식은
재질이 서로 다른 배관을 화염 없이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시공 시간 단축, 화재위험 감소, 유지보수 편의성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배관 설계 시 이종 재료가 혼합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
전용 어댑터·기계식 커플링·절연 유니온 등의 적절한 접합 기술을 선택하여
안정성과 내구성, 시공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모음 (25년 3월 업뎃)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모음서브노트 만들고는 싶은데 레퍼런스가 없으신 분들을 위해직접 만들었습니다. 1교시 용어 문제에 대한 서브노트를 만들었구요.(서술문제는 각자 알아서...)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126회~135회)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기술사 시험 합격에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백지에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아래의 3개년 기술사 기출문제를 보시고본인이 과연 어느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건축기계설비기술사_용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물이용시스템이란? (0) | 2025.03.31 |
---|---|
캐스케이드 보일러란? (0) | 2025.03.31 |
설계도서, 법령해석, 감리지시사항의 우선순위는? (0) | 2025.03.31 |
천장 내부 덕트/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 (0) | 2025.03.31 |
배관에 발생하는 일시경도 vs 영구경도 차이점은? (0) | 2025.03.30 |
안전밸브 vs 릴리프밸브 차이점 (0) | 2025.03.30 |
유량제어밸브에서 어소리티란? (0) | 2025.03.30 |
대수평균온도차(LMTD)란?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