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계설비기술사_용어설명

천장 내부 덕트/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

by 척척기술사 2025. 3. 31.
  1. 천장 내부 시공이란?
  2. 천장 내부 덕트 및 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
    1. ① 설비 간 간섭 방지
    2. ② 슬리브 및 인서트 사전 반영
    3. ③ 덕트 및 배관의 경사 확보
    4. ④ 보온·결로방지 시공 고려
    5. ⑤ 점검구 및 유지관리 공간 확보
    6. ⑥ 소음·진동 저감 대책
    7. ⑦ 시공 순서와 동선 확보
  3. 실무 적용 예시
  4. 마무리
  5.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오늘은 천장 내부(천정매입부)에 설치되는 덕트와 설비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구간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설비밀집 구간이면서 시공·보수 난이도가 높은 핵심 공간입니다.


특히 병원, 호텔, 대형 상업시설일수록 여러 설비가 중첩되기 때문에
초기 설계와 시공 시 간섭, 경사, 점검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천장 내부 시공이란?

배관시공이미지배관시공이미지

건물의 인테리어 마감 위(천장 속)에

공기조화, 급·배수, 소방, 전기 등 다양한 설비를 집어넣는 시공을 말합니다.


보통 다른 층으로의 침투 없이 설비를 배치해야 하고,
건축 구조체와의 간섭 없이 효율적인 동선을 확보해야 하며,
향후 유지관리까지 고려한 배치와 시공이 요구됩니다.

 

 

 

천장 속 시공은 마치 좁은 기내 수납함에

캐리어, 배낭, 옷, 기내식 트레이까지 모두 넣는 일과 비슷합니다.

 

순서를 잘못 잡으면 아무리 공간이 넓어도 들어가지 않고,
한 번 넣고 나면 다시 꺼내기도 어렵기 때문에
시작부터 끝까지 계획된 배치, 설비 간 우선순위, 점검성 확보가 핵심입니다.

 

 

 

천장 내부 덕트 및 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

① 설비 간 간섭 방지

  • 덕트, 급배수배관, 전기트레이, 소방스프링클러 등이 동시에 배치되므로
    시공 전 clash detection(BIM 또는 간섭체크도) 필수
  • 병렬 배치 시 레벨 차를 두어 상하 중첩 방지
  • 소방배관은 스프링클러 위치 기준 고정되므로 우선배치 고려

 

 

② 슬리브 및 인서트 사전 반영

  • 천장 위를 지나는 설비는 관통 슬리브를 구조물 타설 전에 반영
  • 보조철물, 행거의 위치는 구조계획과 함께 설계단계부터 조율 필요

 

 

③ 덕트 및 배관의 경사 확보

  • 드레인배관, 배수관은 반드시 자연유하 경사(1/100 이상) 확보
  • 가스배관, 냉매관도 오일트랩·드레인트랩 등 유지경사 필요
  • 보온재 시공 시 경사 단절되지 않도록 주의

 

 

④ 보온·결로방지 시공 고려

  • 찬물관, 냉온수코일 배관은 보온재 두께 확보(결로 방지 필수)
  • 천장 속 온도차 커서 결로발생 잦은 구간에는 방습보온재 적용

 

 

⑤ 점검구 및 유지관리 공간 확보

  • 배관과 덕트 주위에 점검구 위치 사전 반영 필수
  • 특히 밸브, 트랩, 코일, 센서류가 있는 부분은 열화상 또는 수동 점검 고려
  • 장비 해체·교체를 위한 최소한의 천장 개구부 확보

 

 

⑥ 소음·진동 저감 대책

  • 덕트 내 풍절음, 유량 진동 등이 천장 아래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방지행거, 방진고무, 사운드랙 등 병행 적용
  • 펌프나 송풍기 인접부는 플렉시블 조인트 또는 소음덕트 설치

 

 

⑦ 시공 순서와 동선 확보

  • 일반적으로 덕트 → 배관 → 전기/소방 순서로 설치
  • 좁은 천장 내에서는 시공 순서가 작업성·품질에 직결되므로
    공정별 간섭 회피 동선 계획 필수

 

 

 

 

실무 적용 예시

  • 병원 병실 구역 : 천장 속에 환기덕트, 급배수배관, 산소·공기 배관, 전기트레이가 혼재
     → BIM으로 충돌체크, 덕트 우선 레벨 설정 후 나머지 배관 배치
  • 호텔 욕실구역 : 천장고 제한 + 배수경사 확보 이슈
     → 슬림형 트랩 적용, 드레인 경사 선행 검토
  • 오피스 천장 환기시스템 : 팬코일 유닛 연결 덕트 및 냉온수배관 혼합
     → FCU 보수공간 확보 및 밸브 점검구 위치 검토

 

 

 

 

 

마무리

배관시공이미지배관시공이미지

천장 속 덕트와 설비배관 시공은
제한된 공간에서 여러 시스템이 충돌 없이 정밀하게 배치돼야 하는 설비 시공의 핵심 구간입니다.

 

단순히 설비만 넣는 것이 아니라,
간섭 방지, 경사 확보, 보온 시공, 점검 공간까지 전 영역을 고려한 계획과 협업이 필요하며,
이를 제대로 해내지 않으면 향후 누수, 결로, 소음, 유지보수 불가 등
치명적인 하자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모음 (25년 3월 업뎃)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모음서브노트 만들고는 싶은데 레퍼런스가 없으신 분들을 위해직접 만들었습니다. 1교시 용어 문제에 대한 서브노트를 만들었구요.(서술문제는 각자 알아서...)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126회~135회)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기술사 시험 합격에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백지에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아래의 3개년 기술사 기출문제를 보시고본인이 과연 어느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