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69

보일의 법칙이란? 썸네일 보일의 법칙이란? 오늘은 공조설비나 냉동공학, 유체역학에서 기본 중의 기본으로 다뤄지는보일의 법칙(Boyle’s Law)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법칙은 기체의 부피와 압력의 관계를 다루는 원리로,압축기 해석이나 밀폐공간 내 기체 거동을 분석할 때 필수로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보일의 법칙이란? 보일의 법칙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기체의 온도가 일정할 경우, 압력(P)과 부피(V)는 서로 반비례한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P × V = 상수 (k) 즉, 온도가 일정한 이상기체에서압력을 두 배로 올리면 부피는 절반으로 줄어들고,압력을 낮추면 그만큼 부피는 늘어납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해보자면,풍선 속에 든 공기를 손으로 눌러 압력을 가하면 풍선이 작아집니다.이때 온도 변화 없이 부.. 2025. 3. 29.
하도급계약통보일 기준과 첨부서류 6가지 썸네일 하도급계약통보일 기준과 첨부서류 6가지 하도급계약통보일 기준과 첨부서류 6가지오늘은 하도급계약 통보일의 기준과 첨부서류 6가지에 대해 명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이는 건설공사의 하도급 적정성 심사와 건설산업관리 행정절차의 기본이 되는 항목으로,현장 발주자·원도급자·감리자 모두가 알고 있어야 하는 중요 기준입니다.     하도급계약 통보일이란?하도급계약 통보일은원도급자가 하도급계약 체결 내용을 발주자에게 공식적으로 통보한 날짜를 말합니다.이 날짜를 기준으로 감리자의 하도급 적정성 검토, 현장 투입 승인, 전자카드 등록 등후속 행정절차가 진행되므로, 통보일은 행정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준일이 됩니다.  왜 하도급계약 통보를 해야 할까?하도급계약 통보는 원도급자가 하도급을 줬다는 사실을발주자에게 공식적으로 알리는 행위이며,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 2025. 3. 28.
건축물의 정의 (국토부 기준) 썸네일 건축물의 정의 (국토부 기준) 오늘은 국토교통부에서 법적으로 정의하고 있는 ‘건축물’의 개념을 정확히 짚어보겠습니다.설계, 인허가, 유지관리, 세금 등 모든 행정·기술 행위의 전제가 되는 기준이기 때문에,관련 실무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정의입니다.      건축물의 정의 (국토교통부 기준)국토교통부는 「건축법」 제2조 제1호에서 ‘건축물’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 있는 구조물로서 사람이 거주하거나, 사무·작업·집회·수납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  즉 건축물이란 단순 구조물이 아니라지붕이 있고, 일정한 구조적 폐쇄성(기둥 또는 벽)이 있으며,사람이 일정 목적을 가지고 이용할 수 있어야 비로소 ‘건축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 이 정의에 포함되는 것들일반 주택, 아파트, 빌딩상가, 공장, 창고학교.. 2025. 3. 28.
공조용 가습장치 비교정리 썸네일 공조용 가습장치 비교정리 공조용 가습장치 비교정리오늘은 공조설비에서 겨울철 필수 요소 중 하나인 가습장치,그중에서도 공조용 가습장치의 종류와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실내 온도만 높이고 습도 관리를 하지 않으면,건조로 인한 불쾌감, 정전기, 목·코 점막 자극, 기기 고장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대형 건물, 병원, 데이터센터 같은 공간에서는공조기(AHU)에 가습장치를 반드시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조용 가습장치의 분류 체계가습 방식은 크게 3가지 원리로 나뉩니다.증기식(Steam Type)분무식(Spray Type)기화식(Evaporation Type)각각의 원리에 따라 구조, 설치 방식, 운전 특성이 다릅니다.   공조용 가습장치 종류 1. 증기식 가습기 (Steam Humidifier)원리 : 물을 끓여서 수.. 2025. 3. 28.
건축물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란? 썸네일 건축물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란? 오늘은 건축물의 단열, 창호, 설비, 신재생까지 모두 아우르는 핵심 기준,바로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기준은 단순한 기술 지침이 아니라,설계도면이 허가를 받기 위해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법정 최소 성능 기준’입니다.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란?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은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설계단계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단열 성능, 창호 사양, 설비 효율, 에너지 총량 등을 규정한국가 고시 기준입니다. 쉽게 말해,“이 정도 단열은 해야 하고, 창문은 이 정도 성능 이상을 써야 하며,설비도 최소한 이만큼은 고효율 제품을 써야 한다”는 기본 설계 가이드라인입니다.      법적 근거와 적용 대상에너지절약설계기준은 "권고"가 아닌 "법적기준"입니다.법.. 2025. 3. 28.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 썸네일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 오늘은 다중이용시설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실내공기질 기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이 기준은 단순 권고 수준이 아니라,법으로 정해진 의무 관리 대상이며,실제 설계·시공·유지관리 전반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항목입니다.     다중이용시설의 정의다중이용시설이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일정 시간 이상 함께 사용하는 실내 공간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다중이용시설은 다음과 같습니다.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학원병원, 노인요양시설영화관, 백화점, 지하상가지하철역사, 지하도상가공항, 철도역사 대합실사무용 오피스텔, 고시원 등이러한 시설에서는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해법으로 정해진 항목별 허용기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실내공기질 기준의 법적 근거실내공기질 기준의 법적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실내공기질관리법.. 2025. 3. 27.
온도차이비율(TDR)과 결로 현상 썸네일 온도차이비율(TDR)과 결로 현상 오늘은 결로 현상 판단용 지표로서의TDR(Temperature Difference Ratio, 온도차이비율)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온도차이비율(TDR)이란? TDR(Temperature Difference Ratio)은건축물 내 결로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이 개념은 실내 공기와 외기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할 때,내부 벽체나 창호의 표면온도가 결로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수치로 평가합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TDR = (실내온도 – 실내표면온도) / (실내온도 – 실외온도) 여기서실내온도 : 대개 18~26℃ 사이의 쾌적온도실내표면온도 : 창호, 벽체, 바닥 등 내측 마감면의 온도실외온도 : 주로 겨울철 외기온도 (예 : -5℃ 등)    온도차이비율(TDR) ↑,  결로 발생 ↑ T.. 2025. 3. 27.
녹색건축인증 대상 및 등급체계 썸네일 녹색건축인증 대상 및 등급체계 오늘은 에너지 성능, 환경 성과, 실내 쾌적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제도인 녹색건축인증(G-SEED :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친환경 건축물이란 단어는 익숙하지만, 실제 인증제도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에 핵심만 정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녹색건축인증이란?녹색건축인증(G-SEED)은건축물의 에너지 절약성과 환경성능을 평가하여친환경 건축물로 공식 인증하는 국가 인증제도입니다. 쉽게 말해서건물을 얼마나 에너지 절약적으로, 환경 부담이 적게,그리고 쾌적하고 건강하게 설계하고 시공했는지를수치와 기준에 따라 평가해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법적 근거는?1)「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8조2).. 2025. 3. 26.
기계설비성능점검업 등록요건 썸네일 기계설비성능점검업 등록요건 오늘은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며기계설비업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제도,바로 기계설비성능점검업의 기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제도는 기계설비성능점검업무가 단순한 점검 업무가 아니라,건축물의 에너지 절감과 안전 확보를 위한 기계설비 분야의 전문 영역으로 구분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기계설비성능점검업이란?기계설비성능점검업은기계설비의 성능을 법정기준에 따라 측정·진단하고, 유지관리 상태를 평가하는 전문 업종입니다. 설비가 원래의 설계대로 잘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효율성·안전성·에너지절감 가능성을 수치적으로 분석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법적 근거는?「기계설비법」 제18조「기계설비법 시행령」 제15조, 제16조「기계설비법 시행규칙」 제14조~16조에 상세 기준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2025. 3. 26.
실내 온습도 관리기준 썸네일 실내 온습도 관리기준 오늘은 건축 설비 설계, 에너지 효율 검토, 결로 판단, 실내환경 평가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본이 되는 우리나라 실내 온·습도 기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온습도 기준은 단순한 쾌적함을 넘어서 법적, 기술적 기준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온습도 관련 기준 & 법령 우리나라 실내 온·습도 기준은 어디서 정하고 있을까요?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법령과 기준에서 실내 온도와 습도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공동주택 성능 기준 및 평가방법 (국토부 고시)학교보건법 시행규칙 (보건복지부령)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고용노동부령)KS B 6141 : 공기조화 설계 기준 (한국산업표준)ASHRAE Standard 55 (국제 쾌적기준, 국내에도 자주 참고) .. 2025. 3. 26.
거품역류현상이란? 원인 및 방지대책 썸네일 거품역류현상이란? 원인 및 방지대책 이번에는 배수설비에서 자주 발생하지만막상 개념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문제,바로 거품역류현상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거품역류현상은 하수 역류 문제로 민원이 발생하거나,고층 건물에서 갑자기 변기가 끓는 듯한 소리를 낼 때의심할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거품역류현상이란?거품역류현상(泡沫逆流現象)은배수관 내부에서 발생한 거품이 위로 역류하면서,위생기구나 트랩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입니다. 이 거품은 단순한 물방울이 아니라,비누, 세제, 오수 내 유기물이 공기와 섞여 형성된점성이 높은 기포층으로,상당한 부피와 밀도를 갖고 천천히,그러나 강하게 역류합니다. 하수도가 아래에서 끓어오르듯,기포 덩어리가 천천히 변기나 세면기로 올라오는공포스러운 현상입니다.   거품역류 발생조건어떤 경우에 이런 현상이 발.. 2025. 3. 26.
전동기에 사용되는 인버터(Inverter) 정리 썸네일 전동기에 사용되는 인버터(Inverter) 정리 이번엔 전동기 속도제어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인버터(Inverter)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냉동기, AHU, 송풍기, 펌프까지…전동기가 돌아가는 곳이면 인버터도 따라옵니다.그만큼 인버터는 실무자라면 꼭 이해하고 있어야 할 핵심 장비입니다.  Inverter란?인버터(Inverter)는교류 전동기의 회전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만들어주는 전력변환장치입니다. 정확히 말하면,정해진 주파수(예 : 60Hz)의 교류전원을 받아,주파수를 변화시켜 전동기 속도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왜 주파수를 바꾸면 속도가 바뀔까요?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는 다음 공식으로 정해집니다.  N = (120 × f) / pN : 전동기 동기속도 (rpm)f : 주파수 (Hz)p : 극수 (Po.. 2025.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