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계설비기술사_용어설명

실내 온습도 관리기준

by 척척기술사 2025. 3. 26.

    오늘은 건축 설비 설계, 에너지 효율 검토, 결로 판단, 실내환경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본이 되는 우리나라 실내 온·습도 기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온습도 기준은 단순한 쾌적함을 넘어서 법적, 기술적 기준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온습도 관련 기준 & 법령

     

    실내 온습도 이미지실내 온습도 이미지실내 온습도 이미지

    우리나라 실내 온·습도 기준은 어디서 정하고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법령과 기준에서 실내 온도와 습도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 공동주택 성능 기준 및 평가방법 (국토부 고시)
    • 학교보건법 시행규칙 (보건복지부령)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고용노동부령)
    • KS B 6141 : 공기조화 설계 기준 (한국산업표준)
    • ASHRAE Standard 55 (국제 쾌적기준, 국내에도 자주 참고)

     

     

     

     

    주요 공간별 온·습도 기준 (겨울철 / 여름철)

    실내 온습도 이미지실내 온습도 이미지실내 온습도 이미지

    구분 겨울철 실내온도 여름철 실내온도 상대습도 범위(연중)
    일반 주거 공간 18 ~ 22℃ 26 ~ 28℃ 40 ~ 60%
    학교 교실 18 ~ 20℃ 26 ~ 28℃ 30 ~ 60%
    병원 병실 20 ~ 24℃ 24 ~ 26℃ 40 ~ 60%
    업무용 건물 20 ~ 22℃ 26 ~ 28℃ 40 ~ 60%
    산업 현장 18℃ 이상 28℃ 이하 30 ~ 70%

    ※ 실제 설계 기준에서는 ±1~2℃의 범위를 허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상대습도 기준은 왜 중요할까요?

    실내 온도만큼이나 상대습도 기준도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결로 방지 : 상대습도가 높아지면 이슬점도 올라가 결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곰팡이 방지 : 습도가 70% 이상일 때 곰팡이 번식이 활발해집니다.
    • 호흡기 건강 보호 : 40~60% 사이가 점막 건강에 가장 적절한 구간
    • 정전기 억제 : 습도가 30% 이하로 떨어지면 정전기 발생 빈도 증가
    • 목재, 가구, 마감재의 팽창/수축 억제 : 상대습도가 지나치면 자재 변형이 발생

     

     

     

     

     

    실내 온습도 기준의 실제 적용 사례

    실내 온습도 이미지실내 온습도 이미지실내 온습도 이미지

    • 공동주택 결로 하자 판정 기준 : 실내 20℃, 습도 60% 조건에서 표면온도가 이슬점 이하일 경우 하자 판정
    • 건축물 에너지 평가 시스템(BEEC) : 에너지소비 총량 외에도 쾌적성 평가에 온·습도 조건 반영
    • 학교·병원 등 공공시설 환기 설계 : 실내 CO₂ 농도와 함께 온·습도 기준이 필수 반영됨
    •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 : 쾌적성 유지 범위로써 실내온·습도 기준 준수 요구

     

     

     

     

    결론

    실내 온습도 이미지실내 온습도 이미지실내 온습도 이미지

    우리나라 실내 온·습도 기준은 단순한 쾌적성 차원을 넘어서,
    결로, 곰팡이, 건강, 에너지 소비까지 직결되는 기본이자 최우선 고려사항입니다.

     

    설계든 시공이든 유지관리든,

    “겨울엔 20℃ / 여름엔 26℃ / 연중 습도는 40~60%”

     

    이 세 숫자만 기억하고 있어도, 대부분의 실내환경 기준을 만족할 수 있습니다.

     

     

     

     

    연관 포스팅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