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계설비기술사_용어설명

건축물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란?

by 척척기술사 2025. 3. 28.

    오늘은 건축물의 단열, 창호, 설비, 신재생까지 모두 아우르는 핵심 기준,
    바로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기준은 단순한 기술 지침이 아니라,
    설계도면이 허가를 받기 위해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법정 최소 성능 기준’입니다.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란?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너지절약설계기준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설계단계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단열 성능, 창호 사양, 설비 효율, 에너지 총량 등을 규정한
    국가 고시 기준입니다.

     

    쉽게 말해,
    이 정도 단열은 해야 하고, 창문은 이 정도 성능 이상을 써야 하며,
    설비도 최소한 이만큼은 고효율 제품을 써야 한다”는 기본 설계 가이드라인입니다.

     

     

     

     

     

     

    법적 근거와 적용 대상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은 "권고"가 아닌 "법적기준"입니다.

    법적근거와 정확한 적용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적근거

    • 「건축법」 제15조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적용대상

    • 연면적 500㎡ 이상의 신축 건축물
    • 300㎡ 이상의 증축·개축·재축 건물
    • 공공기관이 사용하는 300㎡ 이상 건축물
    • 세대 수 30호 이상 공동주택

    ※ 연면적과 건물 용도에 따라 적용 범위 및 검토 항목이 달라집니다.

     

     

     

     

     

    에너지절약설계기준 항목별 내용

    항목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주요 내용
    건축 부문 외벽·지붕·바닥·창호의 열관류율 기준, 지역별 단열 성능 차등 적용
    기계설비 부문 고효율 냉난방기기, 열회수형 환기장치, 절수형 위생기기 등
    전기설비 부문 고효율 조명, 자동소등 시스템, 감지센서 연동 제어 등
    신재생에너지 부문 일정 비율 이상 신재생에너지 설비(태양광, 지열 등) 의무화
    에너지 소비총량 기준 건물 전체 에너지성능(EPI : Energy Performance Index) 점수화

     

     

     

    대표적인 적용 예시

    • 서울(3지역) 기준, 공동주택 외벽 열관류율 : 0.21W/㎡·K 이하 준수
    • 주거용 건물의 창호는 열관류율 1.3W/㎡·K 이하 제품 사용
    • 연면적 1,000㎡ 이상 건물은 신재생에너지 10% 이상 의무 적용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알아야 하는 이유

    이 기준을 왜 알아야 할까요?

     

    허가를 받을 수 없다
    설계도면이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건축 인허가 자체가 반려됩니다.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냉난방 부하가 줄어들고, 유지비용 절감에 직결됩니다.

     

    ZEB(제로에너지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과 연계된다
    대부분의 친환경 인증제도에서 이 기준을 최소 전제로 사용합니다.

     

    향후 규제 강화에 대비해야 한다
    이 기준은 3~5년 주기로 점점 강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총량기준(EPI) 중심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정리하자면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은
    단열만 잘하자는 게 아닙니다.

     

    건축과 설비, 전기, 신재생을 통합해서
    건물의 전체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설계의 기본 틀’입니다.

     

    단 한 항목이라도 기준에 못 미치면 허가가 어려워지고,
    감리 단계에서 시공 성능이 검증되지 않으면 준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 기준은 모든 건축 프로젝트의 출발점이자 법적 기반이 되는 핵심 지침입니다.

     

     

     

     

     

     

    연관 포스팅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