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LEED 인증 기준/등급/평가항목

by 척척기술사 2025. 3. 25.
    반응형

    오늘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바로 LEED 인증(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국내에서는 G-SEED(녹색건축인증)가 기본이지만,
    글로벌 프로젝트나 다국적 기업 건축물에서는 LEED가 거의 필수처럼 여겨지고 있는 만큼,
    국내 실무자에게도 그 구조와 특징을 알아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LEED 인증이란?

    LEED 인증 설명 이미지LEED 인증 설명 이미지

    LEED는 미국그린빌딩위원회(USGBC)가 개발한
    친환경 건축물 평가·인증 시스템입니다.

     

    정식 명칭은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즉 “에너지와 환경 설계에서 선도적인 건축물”이라는 의미입니다.

     

    세계 180개국 이상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국제 무대에서 친환경·지속가능 건축의 표준 언어처럼 사용됩니다.

     

     

     

    LEED 인증의 핵심 가치

    LEED는 단순히 단열 성능이나 에너지 절감만 보는 게 아닙니다.
    토지 사용부터 물 절약, 자재, 실내공기질, 에너지 운영,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통합 평가합니다.

     

    LEED는 프로젝트 유형에 따라 여러 버전으로 나뉩니다.

    LEED 버전 적용 대상
    BD+C (Building Design + Construction) 신축 및 대수선 건물
    O+M (Operations + Maintenance) 기존 건물의 운영 및 유지관리
    ID+C (Interior Design + Construction) 인테리어 중심 프로젝트
    ND (Neighborhood Development) 지역 개발 프로젝트
    Homes 주거용 단독 및 공동주택

    현재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LEED v4 또는 LEED v4.1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LEED 인증 등급 체계

    LEED는 평가 점수에 따라 총 4가지 등급으로 구분됩니다.

    등급 점수
    Certified 40~49점
    Silver 50~59점
    Gold 60~79점
    Platinum 80점 이상

     

    총 110점 만점이며, 각 항목마다 선택적으로 점수를 취득하는 방식입니다.
    즉, ‘모든 걸 잘해야’가 아니라 ‘전략적으로 잘 조합해야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평가 항목 (LEED v4 기준)

    카테고리 주요 내용
    Location & Transportation 대중교통 접근성, 자전거 인프라, 차량공유 등
    Sustainable Sites 부지 보존, 우수관리, 조경계획
    Water Efficiency 절수기기, 급탕시스템, 물 재활용
    Energy & Atmosphere 냉난방 설계, 에너지 모델링, 신재생에너지
    Materials & Resources 친환경 자재, 재활용 비율, 자재 추적성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자연채광, 환기, 실내공기질, VOC 저감
    Innovation 창의적인 친환경 기술 적용
    Regional Priority 지역 특화 친환경 항목 가점 부여

     

     

     

    LEED 인증의 특징

    LEED 인증 설명 이미지LEED 인증 설명 이미지

    LEED 인증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기반의 국제인증제도이지만, 국내 프로젝트도 인증 가능
    • 평가항목이 수치화돼 있어 국제 비교 가능성 높음
    • 설계단계 + 시공단계 + 운영단계를 모두 고려함
    • 친환경 건물로 인정받아 임대료 상승, 투자유치에 유리
    • 다국적 기업, 글로벌 브랜드 건물에는 LEED가 기본 요구사항인 경우가 많음

     

     

     

    국내 LEED 인증 건축물

    LEED 인증 설명 이미지LEED 인증 설명 이미지

    국내에서 LEED 인증을 받은 대표적인 건축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삼성전자 수원 R&D 센터 (LEED GOLD)
    • 현대차 남양연구소 (LEED 인증)
    • LG사이언스파크
    • 아모레퍼시픽 본사
    • 외국계 기업 오피스 빌딩 (Google, P&G 등)
    • 고급 오피스텔·호텔 브랜드 프로젝트

     

     

     

    결론

    LEED 인증 설명 이미지LEED 인증 설명 이미지

    LEED는 단순한 설계 기술을 넘어,

    '글로벌 수준에서 통용되는 ‘친환경 건축물의 신뢰지표’입니다.

     

    국내에서는 G-SEED와 함께 병행되는 경우도 많고,
    특히 수출형 산업단지, 해외사업, 외자유치 프로젝트에서는
    LEED 인증 여부가 프로젝트의 가치를 결정짓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건축·설비·에너지 분야 실무자라면
    LEED의 구조와 적용 방식을 전략적으로 이해하고 준비해두는 것이
    앞으로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 문서 - 녹색건축인증제도

     

    녹색건축인증 대상 및 등급체계

    오늘은 에너지 성능, 환경 성과, 실내 쾌적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제도인 녹색건축인증(G-SEED :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친환경 건축물이란 단어는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연관 포스팅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