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사113

습공기선도 읽는법 썸네일 습공기선도 읽는법 오늘은 2025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습공기선도(Psychrometric Chart)를 직관적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습공기선도는 공조설비 공부에서 꼭 나오는 그림이지만,막상 보면 곡선도 많고 숫자도 많아서 어렵게 느껴지기 쉽습니다.하지만 공기라는 공간 안에 ‘온도, 습도, 열량, 수증기’를 동시에 표현한 지도라고 생각하면 원리를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습공기선도란?습공기선도란,공기 안에 있는 수분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든 ‘기후 지도’ 같은 그래프입니다.이 선도 하나만 있으면– 지금 이 공간의 공기가 얼마나 덥고,– 얼마나 습하고,– 수분이 얼마나 들어 있고,– 에너지가 얼마나 필요한지 등을숫자 계산 없이 그림만으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습공기선도의 실제 모.. 2025. 4. 3.
바이패스 팩터(BF,By-pass Factor)를 구하는 방법 3가지 썸네일 바이패스 팩터(BF,By-pass Factor)를 구하는 방법 3가지 바이패스 팩터(BF,By-pass Factor)를 구하는 방법 3가지 오늘은 2025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바이패스 팩터(By-pass Factor, BF)를 구하는 방법 3가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바이패스 팩터는 공조 설계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는 개념으로,코일을 통과한 공기 중 실제로 열교환에 참여하지 않고 '우회(bypass)'한 공기의 비율을 나타냅니다.즉, 코일의 냉각 혹은 가열 효율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입니다.     바이패스 팩터란?BF (By-pass Factor)란,냉각코일 혹은 가열코일을 통과하는 공기 중코일의 표면온도까지 도달하지 못한 채완전한 열교환 없이 우회한 공기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BF 값이 작을수록 코일의 효율이 높다는 뜻이며,BF = 0이면 모든 공기가 완전.. 2025. 4. 3.
기술사 시험 특징 - 1교시는 용어, 2~4교시는 서술 썸네일 기술사 시험 특징 - 1교시는 용어, 2~4교시는 서술 기술사 시험 특징 - 1교시는 용어, 2~4교시는 서술 오늘은 기술사 시험 특징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모든 기술사 시험은 1교시부터 4교시까지 있습니다. 그리고 1교시는 반드시 용어 문제가 나옵니다.그리고 2~4교시는 반드시 서술 문제가 나옵니다. 1교시 용어 문제1교시에서는 주어진 13문제 중 10문제에 대한답을 요구합니다. 10문제를 각각 1페이지씩 작성해야 합니다.100분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작성해야 하므로 1교시 용어시험은"얼마나 핵심내용을 잘 요약해서 써내려가는지"가 핵심입니다.   2~4교시 서술 문제2교시부터는 각 교시마다 주어진 6문제 중 4문제에 대한 답을 요구합니다. 4문제를 각각 3~4페이지씩 작성해야 합니다.100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최대 16페이지 가량을 작성해야 하는데요.. 2025. 4. 2.
기술사 시험공부 방법 - 서브노트 작성 썸네일 기술사 시험공부 방법 - 서브노트 작성 기술사 시험공부 방법 - 서브노트 작성 기술사 시험은 다른 일반적인 시험과 많이 다릅니다. 기술사 시험은우리가 그동안 치뤘던 4지선다 객관식 시험이 아니라백지에 볼펜으로 답을 직접 써내려가야 하는 시험입니다. 기존의 객관식 문제 답안을 외우던 방식과는전혀 다른 방식의 공부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다른 어느 자격증 시험보다도 공부방법에 대해고민이 많은 시험 종목인 것 같습니다.   기술사 공부방법에 대한 의견을 드리자면, 현재까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사시험공부방법은바로 "서브노트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서브노트"란 어떤 주제에 대해 가답안 또는핵심 키워드등을 요약&정리해놓은 노트를 의미하는데요. 이 때,"서브노트 작성"의 핵심은"서브노트" 그 자체가 아니라"작성"이 핵심입니다. 수험생이 직접 서브.. 2025. 4. 2.
유해가스 종류/농도기준 썸네일 유해가스 종류/농도기준 오늘은 밀폐공간 작업에서 가장 위험한 요소 중 하나인‘유해가스’에 대해 정의부터 종류, 농도기준까지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산업안전보건교육, 밀폐공간 작업계획서, 가스측정 기준 설정 시 필수적인 기초 개념입니다.      유해가스의 정의유해가스란,작업공간 내에 존재하거나 생성될 수 있으며,작업자의 건강에 해를 끼치거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유해성·위험성을 가진 가스 상태의 물질을 말합니다. 특히 밀폐공간에서는 환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유해가스가 축적되어 질식, 중독, 화재·폭발의 원인이 되기 쉽습니다. 법적으로는「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그리고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고시에 따라산소결핍 또는 유해가스 존재 우려가 있는 공간에서유해가스 측정 및 통제 의무가 발생합니다.       주요 .. 2025. 4. 2.
밀폐공간 산소농도 측정주기/기준/측정자격 썸네일 밀폐공간 산소농도 측정주기/기준/측정자격 밀폐공간 산소농도 측정주기/기준/측정자격 오늘은 2025년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시험에 출제된밀폐공간 작업 시 산소농도 측정 주기, 기준, 그리고 측정자의 자격 요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밀폐공간은 산소결핍, 유해가스, 폭발 위험이공존하는 고위험 작업장입니다.그 안에서 산소 농도 측정은 가장 기본이자, 가장 필수적인 생명선 관리 항목입니다.      산소 농도 기준산소농도는 반드시 다음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작업이 가능합니다.항목기준 농도산소(O₂)18% 이상 ~ 23.5% 이하18% 미만 : 산소결핍 → 두통, 집중력 저하, 심한 경우 의식 소실23.5% 초과 : 산소과잉 → 가연성 물질과 접촉 시 폭발 위험따라서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절대 작업 금지이며, 환기 및 안전조치를 선행해야 합니다.    .. 2025. 4. 2.
연기배출설비 vs Active시스템 vs Passive시스템 썸네일 연기배출설비 vs Active시스템 vs Passive시스템 연기배출설비 vs Active시스템 vs Passive시스템오늘은 지하주차장 화재 시 인명과 구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설비 3가지, 즉 연기배출설비(환기설비 기반), 수동식 방화시스템(Passive), 능동식 방화시스템(Active)을 실제 현장 적용 기준에 맞춰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지하주차장은 천장이 낮고 밀폐도가 높기 때문에, 연기 확산 속도가 빠르고 피난 동선이 복잡하여 화재 시 매우 위험한 공간입니다. 따라서 기계+건축+소방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설계가 핵심입니다.    1. 연기배출설비 (Smoke Ventilation System)→ 기계설비 기반, 환기설비의 연기 제어 기능 지하주차장의 기계환기설비는 평상시에는 차량 배기 가스, CO 농도 저감용으로 운전되지만, 화재 발생 시에는 자.. 2025. 4. 1.
밀폐공간 정의 썸네일 밀폐공간 정의 밀폐공간 정의 오늘은 산업안전보건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인 "밀폐공간(Confined Space)”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특히 건설현장, 정비공사, 정화조·맨홀·수조 등에서 질식, 중독, 산소결핍, 유해가스 중독 등 건강장해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 바로 이 밀폐공간 작업입니다.    밀폐공간이란?「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5조에 따르면,밀폐공간이란, 산소결핍 또는 유해가스 등이 존재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작업공간으로서 다음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① 출입이 제한되고 폐쇄된 구조② 자연적인 환기가 불충분③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존재하거나, 산소가 결핍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 즉, 들어가기 쉽지 않고, 환기가 잘 안 되고, 유해가스나 산소 부족 가능성이 있는.. 2025. 4. 1.
보일러 안전장치 8가지 썸네일 보일러 안전장치 8가지 보일러 안전장치 8가지오늘은 보일러 폭발사고 예방을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안전장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보일러는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다루는 장치인 만큼, 제어 실패나 이상 상황 발생 시 압력폭발, 화염역류, 가스누출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법령과 설계기준에서는 각종 위험 상황을 사전에 차단하고, 이상 발생 시 자동으로 차단 또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다단계 안전장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1. 안전밸브 (Safety Valve)가장 기본이자 필수적인 압력방출 장치보일러 내 압력이 설정값 이상으로 올라가면자동으로 열려 과압을 외부로 배출시켜 폭발 방지보통 보일러 최대사용압력의 110% 이하에서 작동하도록 설정설치 후 연 1회 이상 기능점검 및 낙하시험 필수 .. 2025. 4. 1.
SI단위(기본단위/보조단위/유도단위) 정리 썸네일 SI단위(기본단위/보조단위/유도단위) 정리 SI단위(기본단위/보조단위/유도단위) 정리오늘은 공학, 과학, 설비설계 등 모든 기술분야의 기본 언어이자 표준 체계인 SI 단위계의 기본단위, 보조단위, 유도단위로 구분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개념은 단순히 단위를 외우는 게 아니라, 모든 물리량이 ‘기본단위’를 바탕으로 구성된다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SI 단위란?SI 단위는 국제단위계(Système International d’Unités)의 약자로,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국제 표준 물리단위 체계입니다. 기계설비, 건축, 환경, 물리, 화학 등 모든 공학계산에서 기본단위 → 보조단위 → 유도단위 순으로 확장하여 사용됩니다.  ✅ 기본단위 (Base Units)자연계에서 직접적으로 정의되는 7가지 기본 물리량에 대한 단위입니다... 2025. 4. 1.
용역형사업관리(CM for Fee) vs 위험성사업관리(CM at Risk) 차이점 썸네일 용역형사업관리(CM for Fee) vs 위험성사업관리(CM at Risk) 차이점 CM for Fee vs CM at Risk 차이점은? 오늘은 건설사업관리(CM : Construction Management) 방식 중 특히 실무에서 자주 비교되는 두 가지 유형인 용역형 CM(CM for Fee)와 위험부담형 CM(CM at Risk)에 대해 차이점과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두 가지는 CM 업체가 사업에 얼마나 책임과 리스크를 부담하느냐에 따라 역할 범위와 계약 구조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발주자 입장에서도 선택 전략이 매우 중요합니다.    CM for Fee (용역형 CM)란?CM for Fee 방식은건설사업관리자가 발주자의 ‘대리인’으로서공정·품질·비용·계약 등을 전문적으로 관리해주는 순수한 ‘용역 제공 방식’입니다. CM업체는 공사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설계자, 시공자.. 2025. 4. 1.
보일러의 증발률과 효율 썸네일 보일러의 증발률과 효율 보일러의 증발률과 효율 오늘은 보일러의 증발률과 효율, 특히 급수로부터 소요 증기를 발생시키는 열변환 성능의 핵심 지표들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보일러는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고, 이 열로 급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설비입니다. 이때 단위 연료로 얼마나 많은 증기를 만들 수 있느냐, 에너지 손실 없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증발시키느냐가 보일러의 핵심 성능지표가 됩니다.      보일러 증발률(Evaporation Rate)이란?증발률이란 보일러가 1시간 동안 만들어낼 수 있는 포화 증기의 양을 의미하며, 단위는 일반적으로 kg/h 또는 ton/h로 표현합니다. 즉, 증발률 1,000 kg/h라는 말은 1시간 동안 1,000kg의 포화증기를 만들 수 있는 용량이라는 뜻입니다... 2025.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