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밀폐공간 작업에서 가장 위험한 요소 중 하나인
‘유해가스’에 대해 정의부터 종류, 농도기준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산업안전보건교육, 밀폐공간 작업계획서, 가스측정 기준 설정 시 필수적인 기초 개념입니다.
유해가스의 정의
유해가스란,
작업공간 내에 존재하거나 생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건강에 해를 끼치거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유해성·위험성을 가진 가스 상태의 물질을 말합니다.
특히 밀폐공간에서는 환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유해가스가 축적되어 질식, 중독, 화재·폭발의 원인이 되기 쉽습니다.
법적으로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그리고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고시에 따라
산소결핍 또는 유해가스 존재 우려가 있는 공간에서
유해가스 측정 및 통제 의무가 발생합니다.
주요 유해가스의 종류 및 특성
주요 유해가스의 종류 및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스명 | 주요 발생원 | 인체에 미치는 영향 |
황화수소 (H₂S) | 정화조, 하수도, 유기물 부패 | 중추신경계 마비, 후각 마비, 저농도 흡입만으로도 치명적 |
일산화탄소 (CO) | 내연기관, 화재, 연료 연소 | 헤모글로빈과 결합 → 산소 운반 방해 → 질식 |
메탄 (CH₄) | 하수도, 매립지, 폐수처리장 | 자체 독성은 약하지만 폭발 위험 있음 |
암모니아 (NH₃) | 냉매 누출, 유기물 부패 | 점막 자극, 호흡곤란, 폐부종 |
이산화탄소 (CO₂) | 발효시설, 호흡 누적 | 고농도 시 질식 유발 |
산소결핍 (O₂) | 밀폐공간 내 산소 소비 or 희석 | 18% 이하부터 집중력 저하, 14% 이하면 의식 상실 위험 |
벤젠, 톨루엔 | 유기용제, 도료 | 신경계 중독, 발암 가능성 |
유해가스의 농도기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유해가스의 농도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 기준 농도 | 주의사항 |
산소(O₂) | 18% 이상 | 이보다 낮으면 산소결핍 → 즉시 작업 중단 |
황화수소(H₂S) | 10ppm 이하 | 100ppm 이상 : 즉사 위험 |
일산화탄소(CO) | 30ppm 이하 | 200ppm 이상 : 생명 위협 |
이산화탄소(CO₂) | 5,000ppm 이하 | 10,000ppm 이상 : 심한 두통, 혼수 |
암모니아(NH₃) | 25ppm 이하 | 자극성 강하고 냄새로도 불쾌감 유발 |
가연성 가스 (LFL 기준) | 25% 미만 유지 | 폭발 하한계의 25% 이하로 유지해야 안전 |
총 유기탄화수소 (TVOC) | 100ppm 이하 (작업 환경 따라 다름) | 고농도 시 발암, 신경계 영향 |
※ ppm : parts per million (100만분의 1), 공기 중 농도 단위
맺음말
유해가스란 밀폐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기체 상태의 유해물질이며,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메탄,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들의 기준 농도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즉시 환기·작업중지 조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밀폐공간 작업 전에는 반드시 유해가스 측정기기를 이용해
농도를 사전에 점검하고, 필요 시 국소배기·송풍·감시인 배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_용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공기선도 읽는법 (0) | 2025.04.03 |
---|---|
바이패스 팩터(BF,By-pass Factor)를 구하는 방법 3가지 (0) | 2025.04.03 |
기술사 시험 특징 - 1교시는 용어, 2~4교시는 서술 (0) | 2025.04.02 |
기술사 시험공부 방법 - 서브노트 작성 (0) | 2025.04.02 |
밀폐공간 산소농도 측정주기/기준/측정자격 (0) | 2025.04.02 |
연기배출설비 vs Active시스템 vs Passive시스템 (0) | 2025.04.01 |
밀폐공간 정의 (0) | 2025.04.01 |
보일러 안전장치 8가지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