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공간 정의


오늘은 산업안전보건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인 "밀폐공간(Confined Space)”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특히 건설현장, 정비공사, 정화조·맨홀·수조 등에서 질식, 중독, 산소결핍, 유해가스 중독 등 건강장해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 바로 이 밀폐공간 작업입니다.
밀폐공간이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5조에 따르면,
밀폐공간이란, 산소결핍 또는 유해가스 등이 존재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작업공간으로서 다음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① 출입이 제한되고 폐쇄된 구조
② 자연적인 환기가 불충분
③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존재하거나, 산소가 결핍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
즉, 들어가기 쉽지 않고, 환기가 잘 안 되고, 유해가스나 산소 부족 가능성이 있는 곳이 모두 해당됩니다.
밀폐공간은 마치 환기가 안 되는 거대한 ‘진공병’ 안에서 작업하는 것과 같습니다.
밖에서는 평범해 보이지만, 안에 들어가면 공기 흐름이 거의 없고, 산소가 줄어들거나 이산화탄소, 메탄, 황화수소 같은 유독가스가 천천히 축적되어 있는 곳이죠.
문을 열고 들어가자마자 정신을 잃거나 작업 중 쓰러지는 경우도 많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밀폐공간의 예시
- 맨홀, 정화조, 하수도 관로
- 저장탱크, 반응탑, 보일러 내부
- 배수지, 폐수처리조, 피트(pit), 덕트 내부
-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철도 차량 하부 공간
- 대형 배관 내부, 지하 공동구
밀폐공간에서의 건강장해 주요 유형
밀폐공간에서의 건강장해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산소결핍 : 18% 이하 → 현기증, 집중력 저하 → 의식상실
- 유독가스 중독 : 황화수소(H₂S), 일산화탄소(CO) 등 → 호흡곤란, 급성 중독
- 폭발·화재 위험 : 메탄, 가연성 휘발유 증기
- 고온·고습 환경 스트레스 : 작업자 탈수, 열사병 유발
맺음말
정리해보자면 밀폐공간이란, 폐쇄성, 환기 불량, 유해환경이라는 세 가지 특징을 가진 공간으로, 작업자가 들어갈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고위험 작업장입니다.
산소농도 측정, 유해가스 측정, 환기장치 가동, 감시인 배치, 작업허가서 발급 등 특별한 안전관리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무시하면 질식사, 중독사 같은 중대재해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 (25년 3월 업뎃)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서브노트 만들고는 싶은데 레퍼런스가 없으신 분들을 위해직접 만들었습니다. 1교시 용어 문제에 대한 서브노트를 만들었구요.(서술문제는 각자 알아서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126회~135회)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기술사 시험 합격에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백지에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아래의 3개년 기술사 기출문제를 보시고본인이 과연 어느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