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배출설비 vs Active시스템 vs Passive시스템
오늘은 지하주차장 화재 시 인명과 구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설비 3가지, 즉 연기배출설비(환기설비 기반), 수동식 방화시스템(Passive), 능동식 방화시스템(Active)을 실제 현장 적용 기준에 맞춰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지하주차장은 천장이 낮고 밀폐도가 높기 때문에, 연기 확산 속도가 빠르고 피난 동선이 복잡하여 화재 시 매우 위험한 공간입니다. 따라서 기계+건축+소방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설계가 핵심입니다.
1. 연기배출설비 (Smoke Ventilation System)
→ 기계설비 기반, 환기설비의 연기 제어 기능
지하주차장의 기계환기설비는 평상시에는 차량 배기 가스, CO 농도 저감용으로 운전되지만, 화재 발생 시에는 자동으로 연기배출모드로 전환됩니다.
✅ 주요 구성요소
- 제트팬(Jet Fan) : 천장에 설치되어 연기를 유도·집중 배출
- 배기팬(Exhaust Fan) : 외부로 연기 배출
- 전용 배기덕트 : 방화댐퍼와 함께 구성
- 화재감지기 연동 제어 : 연기감지 또는 비상전원 작동 시 자동 전환
✅ 설계 기준 예시 (KFI, 화재안전기준)
- 화재 시 CO 및 유독가스를 10분 이내 희석할 수 있어야 함
- 피난거리를 기준으로 연기 체류 시간을 120초 이하로 제한
- 설비는 비상전원 연동, 화염 저항 1시간 이상 구조재 사용
✅ 장점
- 초기 연기 배출 → 피난 유도, 소방대 진입 유리
- 기존 환기설비를 활용 가능 (경제성)
✅ 단점
- 구획이 없는 개방형 주차장은 연기 확산 제어가 어려움
- 환기설비 규모가 부족하면 효과 미비
2. Passive 방화시스템 (수동식)
→ 건축재료와 공간 설계를 통한 화재 차단 및 지연
Passive 시스템은 ‘불이 나기 전부터 구조적으로 화재 확산을 막는 설비’를 의미합니다. 기계적 동작 없이, 소재와 구조 자체가 방화 기능을 가집니다.
✅ 주요 적용 예시
- 방화구획 및 방화벽 : 주차장과 EPS실, 기계실, 승강기 등 구획 분리
- 내화도 확보한 벽체·슬래브 : 1~2시간 이상 내화 성능 확보
- 방화문 및 자동폐쇄장치 : 평소에는 개방되지만, 화재 시 자동 폐쇄
- 관통부 방화처리(Sealant) : 배관·덕트 통과부에 화염 확산 방지
✅ 장점
- 전원, 제어 없이도 항상 작동 상태 유지
- 시스템 고장 가능성 없음
- 법령상 최소 방화구획 확보 시 인허가 필수 항목
✅ 단점
- 연기 제어 능력 없음 (화염만 차단)
- 공간 활용 제약 발생 (방화구획별 구획 필요)
3. Active 방화시스템 (능동식)
→ 화재 감지 후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방재 설비
Active 시스템은 ‘화재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작동하는 소방설비’입니다.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며, 화염·연기·온도 상승을 직접적으로 제어합니다.
✅ 주요 설비 구성
- 자동화재탐지설비 : 연기, 열 감지기 → 경보 발령
- 스프링클러 시스템 : 열 감지 후 자동 살수
- 수동식 또는 자동식 제연댐퍼 : 연기 확산 제어
- 비상방송·유도등·피난경로 표지판
- 화재수신반 + 제어반 : 설비 통합제어, 우선차단, 연동 명령
✅ 장점
- 초기 화재에 즉각 대응 → 진압 시간 확보
- 연기확산, 유독가스 확산 제어 가능
- 피난 유도와 소방대 대응에 결정적 역할
✅ 단점
- 정전 시 운전불능 위험 → 비상전원 필수
- 센서 오작동 또는 유지보수 소홀 시 비작동 가능
방화시스템의 중요성
지하주차장의 화재안전 설계는 연기배출설비(기계 기반 환기), Passive 시스템(건축 방화구획), Active 시스템(소방 자동제어)가 서로 보완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야 실효성이 확보됩니다.
- 연기는 기계 환기로 배출하고,
- 화염은 방화구획으로 확산을 막고,
- 화재 진압은 스프링클러와 자동제어로 빠르게 대응해야 설계 목적을 제대로 달성할 수 있습니다.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 (25년 3월 업뎃)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서브노트 만들고는 싶은데 레퍼런스가 없으신 분들을 위해직접 만들었습니다. 1교시 용어 문제에 대한 서브노트를 만들었구요.(서술문제는 각자 알아서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126회~135회)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기술사 시험 합격에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백지에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아래의 3개년 기술사 기출문제를 보시고본인이 과연 어느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