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인기 자격증 총정리 🔍 | ||||
---|---|---|---|---|
🧩 전임의와 임상강사는 같은 의사일까?
병원에서 ‘임상강사’라고 불리는 분이 있는데, 알고 보니 ‘전임의’랑 같은 사람이라고도 하죠. 그럼 둘은 뭐가 다를까요?
사실 이 둘은 자격은 같지만, 역할과 ‘호칭의 뉘앙스’가 조금 다릅니다. 쉽게 말하면, 둘 다 전문의 자격을 갖춘 의사지만 병원에서 어떤 포지션으로 불리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거예요.
📘 전임의란? : 전문의 자격을 갖고 더 배우는 중
전임의는 ‘펠로우(Fellow)’라고도 불리고, 전문의 자격을 이미 갖췄지만 더 전문적인 경험을 쌓기 위해 대학병원 등에 남아 훈련받는 의사예요.
예를 들어, 내과 전문의를 딴 사람이 심장초음파나 내시경만 더 깊이 배우고 싶다면, 그 분야의 전임의를 신청해 1~2년 정도 병원에 더 남게 됩니다. 진료도 하지만, 배우는 사람이라는 점이 핵심이에요.
🎓 임상강사란? : 진료도 하고, 교육도 책임지는 ‘실무교수’
임상강사는 전임의 중에서도 특히 교육 역할까지 맡은 사람을 말합니다. 병원에 따라 ‘전임의’ 대신 ‘임상강사’라는 직함을 쓰기도 하고, 두 직책을 나누기도 해요.
임상강사는 단순히 배우는 걸 넘어서 의대 학생이나 전공의를 지도하고, 연구나 논문 작업에도 참여하는 등, 실제 병원 안에서는 교수의 역할을 조금씩 나누어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니까, 전임의는 수련 중심, 임상강사는 교육과 진료의 중심이라고 볼 수 있어요.
🏥 병원에서는 누가 더 높은 걸까?
직급 차이는 없습니다. 둘 다 같은 전문의 자격을 가진 의사고, 병원에서 근무하는 ‘펠로우’입니다. 하지만 병원에 따라 ‘전임의는 전임의’, ‘임상강사는 교수 역할도 일부 하는 사람’이라는 식으로 업무 분담이 나뉘는 경우도 있어요.
즉, 호칭의 차이일 뿐, 위계나 계급의 차이는 없는 거예요. 어떤 병원은 두 용어를 구분 없이 쓰기도 하고, 어떤 병원은 ‘임상강사’를 더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 예시로 이해하면 더 쉬워요
예를 들어 한 대학병원에서 A 의사는 내과 전문의를 딴 뒤 전임의로 남았습니다. 그는 하루에도 수많은 환자를 보면서 초음파 진단법을 더 배우고 있어요.
그런데 같은 병원에 B 의사는 같은 내과 전문의인데, 전공의 교육도 맡고 있고, 교수님 논문도 같이 쓰고 있어요. 이 B 의사를 ‘임상강사’라고 부르기도 하는 겁니다.
둘 다 실력 있는 의사지만, 어느 쪽에 더 중심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달라진다는 거죠.
✅ 결론 요약
정리해보자면, 전임의와 임상강사는 모두 전문의 자격을 가진 ‘펠로우’ 의사입니다.
- 전임의는 수련 중심, 더 전문적인 진료기술을 익히기 위한 단계
- 임상강사는 진료 + 교육, 교수 역할 일부를 맡아 학생이나 전공의를 지도하는 포지션
두 명칭은 병원마다 다르게 쓰일 수 있지만, 자격이나 계급이 다른 건 아니며, 각각의 역할과 업무 방향에 따라 구분되는 용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더 알아보기 〉〉
건설현장 기술자 선임기준/배치기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