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차이

by 척척기술사 2025. 1. 22.

    청약저축과 주택청약종합저축 차이


    안녕하세요. 혹시 청약저축과 주택청약종압저축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연말정산하려고 하는데 2개 항목이 서로 구분되어 있어 연말정산하는 게 쉽지않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청약저축’과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차이점에 대헤 알아보겠습니다.

     

    청약저축과 vs 주택청약종합저축 차이점은?


    청약저축과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가입하는 금융상품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연말정산과 관련된 혜택 측면에서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본인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먼저 청약저축은 과거에 국민주택(공공분양)만을 대상으로 가입할 수 있었고, 가입 대상도 무주택 세대주로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한 달에 2만 원에서 최대 10만 원까지만 납입할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도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 혜택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공공분양 주택을 청약하려는 목적이 있는 경우에만 가입하는 것이 적절했습니다.

    반면, 주택청약종합저축국민주택뿐만 아니라 민영주택 청약도 가능하도록 통합된 상품입니다. 가입 대상도 확대되어 무주택자뿐만 아니라 1주택자도 가입할 수 있으며, 나이 제한도 없습니다. 특히 중요한 점은 연말정산에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첫째, 무주택 세대주여야 합니다. 즉, 본인뿐만 아니라 배우자도 집이 없어야 합니다.

    둘째, 연간 납입액의 40%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최대 240만 원을 납입했을 경우 96만 원까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공제는 자동이체로 납입한 금액만 인정된다는 점도 기억해야 합니다.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를 받으려면, 국세청의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자동으로 납입 내역이 반영되지만, 필요할 경우 금융기관에서 납입 증명서를 받아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연말정산에서 혜택을 받고 싶다면 무주택 세대주 요건을 충족해야 하고, 소득 요건도 맞아야 합니다. 이런 조건을 만족한다면 주택청약종합저축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연말정산 혜택과 관계없이 공공분양만을 목표로 한다면 청약저축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사회초년생 시절부터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사용해오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보다 다양한 청약 기회를 제공하고,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더욱 유리한 상품입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사용하는 것이 옳겠지만, 본인의 주택 청약 계획에 따라 적절한 상품을 선택해보시기 바랍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0) 2025.01.22
    CMA RP란?  (0) 2025.01.22
    철근 단위중량 계산  (0) 2025.01.22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0) 2025.01.22
    파이프 규격  (0) 2025.01.21
    철근 단위중량  (0) 2025.01.21
    연봉 실수령액  (0) 2025.01.21
    전기공사 하자보증기간  (0)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