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연봉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수령액
계약연봉이 6000만원일 때 세전 월급은 500만원이겠지만 세후는 얼마일까요? 직장인 월급에서 차감되는 세금은 직장인의 연봉 수준에 따라 그 차이가 상당합니다.
내 월급이 작을 때에는 떼이는 세금이 적지만, 내 월급이 억대연봉으로 향해갈수록 떼이는 세율도 높아지게 됩니다.
내가 정확히 세금으로 얼마가 뜯기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소득세율을 확인해보세요.
소득세율 확인하기

연봉 실수령액표
연봉에 따른 실수령액표는 인터넷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사실 개인마다 공제되는 항목이 다 달라서 인터넷의 자료만 봐서는 내 연봉에 대한 정확한 실수령액을 알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개략적으로 추정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현실적인 직장인 연봉수준인 3000~9500 사이로 잡았습니다.)
연봉 3000 : 실수령액 월 225만원 < 사원 당시
연봉 3500 : 실수령액 월 258만원
연봉 4000 : 실수령액 월 292만원 < 대리 당시
연봉 4500 : 실수령액 월 324만원
연봉 5000 : 실수령액 월 355만원 < 과장 당시
연봉 5500 : 실수령액 월 387만원
연봉 6000 : 실수령액 월 418만원 < 차장, 현재월급🥲
연봉 6500 : 실수령액 월 450만원
연봉 7000 : 실수령액 월 479만원
연봉 7500 : 실수령액 월 504만원
연봉 8000 : 실수령액 월 531만원
연봉 8500 : 실수령액 월 559만원
연봉 9000 : 실수령액 월 587만원
연봉 9500 : 실수량액 월 615만원
따져보면 연봉이 500씩 오를 때마다 저연봉구간에는 월 30만원+a만큼 증가하고, 고연봉구간에는 월 30만원-a만큼 증가하는 듯 합니다. 연봉이 올라갈수록 세금이 높아져서 실수령액은 적어지는 추세가 보이네요.
다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