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파이프 규격

by 척척기술사 2025. 1. 21.
    반응형

    개요


    우리나라에서는 설비 파이프의 규격을 정의하고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한국산업규격(KS)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KS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제품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 표준으로, 파이프의 재질, 크기, 두께, 용도 등에 대한 상세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한국산업규격(KS)의 주요 파이프 규격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07) : 일반적인 배관에 사용되는 탄소 강관의 규격을 정의합니다.

    압력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62) : 고압 배관 시스템에 적합한 탄소 강관의 규격을 명시합니다.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3576) :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재질의 배관용 강관에 대한 규격을 다룹니다.

    상수도용 폴리에틸렌 관 (KS M 3408) : 상수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관에 대한 규격을 포함합니다.



    파이프 크기 표기법


    한국에서는 파이프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호칭경(Nominal Diameter, DN)을 주로 사용합니다. 이는 파이프의 명목상 직경을 의미하며, 실제 외경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N50 파이프의 실제 외경은 60.5mm로 정의됩니다.

    호칭경 종류




    파이프 두께 표기법


    파이프의 두께는 스케줄(Schedule, SCH) 번호로 표시되며, SCH 번호가 클수록 파이프의 두께가 두꺼워집니다. 예를 들어, SCH 40과 SCH 80은 각각 다른 두께를 가지며, 이는 파이프의 압력 저항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재질별 파이프 종류와 특징


    탄소강 파이프 :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 일반 배관, 가스관, 구조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스테인리스 파이프 : 내식성이 우수하여 식품 산업, 화학 플랜트, 의료 기기 등 부식에 민감한 환경에서 활용됩니다.

    PVC 파이프 : 가볍고 내식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상하수도관, 전기 배선관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구리 파이프 :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가공이 쉬워 냉난방 배관, 급수관 등에 적합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