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란? 원리/영향요인/관련지표

by 척척기술사 2025. 2. 7.
    반응형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란?


    기술사 공부를 하다 보면, 개념은 알겠는데 실제 시험장에서 어떻게 적어야 하는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BOD에 대한 내용을 실제 시험장에서 적을 수 있는 수준의 난이도로 서브노트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서브노트를 틈틈이 보시고 시험장에 들어가시면 답안지를 막힘없이 적는 데에 분명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다들 원하시는 기술사 시험 꼭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 개요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는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 의미합니다. 이는 수질 오염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유기 오염이 많을수록 BOD 값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 BOD 측정 원리
    BOD는 주로 5일 동안(20°C에서)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이 분해될 때 소모되는 산소량을 측정하여 평가합니다. 이 과정에서 미생물들이 유기물을 분해하며 산소를 소모하게 되며, 이러한 산소 소비량이 곧 BOD 값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BOD5 : 일반적으로 5일간의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의미
    • BOD 측정 단위 : mg/L (물 1리터 당 소비된 산소의 양)

     

     


    📌 BOD와 수질 오염의 관계
    BOD 값은 수질 오염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BOD 값이 낮은 경우 : 수질이 양호하며 오염이 적음
    • BOD 값이 높은 경우 : 유기물이 많아 수질이 오염된 상태

    수질 관리 기준에 따르면, 생활용수의 BOD 기준은 약 3mg/L 이하가 권장되고 있으며, 하천수의 경우 등급에 따라 1~8mg/L 이하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 BO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BOD 값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유기물의 농도 : 유기물이 많을수록 BOD 값이 증가
    • 미생물의 종류와 수 : 분해를 담당하는 미생물의 활성도에 따라 변화
    • 온도 : 온도가 높으면 미생물 활동이 활발해져 BOD 값이 상승
    • 산소 공급량 : 산소가 충분하지 않으면 분해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 BOD와 관련된 다른 지표
    수질 관리에서 BOD와 함께 자주 사용하는 지표로는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와 TOC(총 유기 탄소)가 있습니다.
    • COD : 화학 반응을 통해 유기물의 산화에 필요한 산소량을 측정
    • TOC : 물 속에 포함된 모든 유기 탄소의 총량

     


    정리해보자면, BOD는 수질 오염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로, 유기물이 많은 하천, 하수 처리장에서 주로 활용됩니다. 시험에서는 BOD의 정의, 측정 원리 및 관련 지표들과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