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 서브노트 | 대기압
대기압에 대해 공부하다 보면, 개념은 알겠지만 실제 시험장에서 어떻게 서술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대비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내용을 숙지하고 시험에 임하면 답안을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원하는 기술사 시험에 꼭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 개요
대기압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입니다. 지표면에서의 대기압은 일반적으로 해수면 기준으로 약 101.325 kPa(킬로파스칼)이며, 이는 1기압(atm) 또는 760mmHg(수은주)로 표현됩니다. 기압은 고도에 따라 달라지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 특징
대기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기압은 지구 중력에 의해 공기가 누르는 힘으로 인해 발생하며, 고도와 온도에 따라 변합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 대기압이 감소하며, 날씨 변화에 따라 대기압의 변동이 일어납니다. 일반적으로 대기압이 높으면 맑은 날씨, 낮으면 흐리거나 비가 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절대기압과의 차이점
절대기압은 기준점을 완전한 진공으로 설정한 압력입니다. 즉, 절대기압은 “진공을 기준으로 측정한 압력”을 의미하며, 대기압은 포함된 값입니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절대기압 = 대기압 + 게이지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밀폐 용기의 압력이 200 kPa 게이지압이라고 할 때, 절대기압은 200 kPa에 대기압 101.325 kPa를 더한 약 301.325 kPa가 됩니다.
📌 계기압과의 차이점
계기압은 특정 기준을 대기압으로 설정하여 측정한 압력입니다. 즉, 대기압을 기준으로 하여 추가적인 압력을 측정할 때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압력계는 대기압을 0으로 설정하여 측정하며, 수식으로는 계기압 = 절대기압 - 대기압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진공)은 음수 값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정리해보자면, 대기압은 지구의 공기에 의한 자연적인 압력이며, 절대기압은 진공을 기준으로 측정된 압력, 계기압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된 압력입니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하면 시험장에서 명확한 답안을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