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아트리움 공조설계방법

by 척척기술사 2025. 8. 3.
    반응형

     

     

     

     

    🌬️ 아트리움 공조설계 방법 총정리

    아트리움은 넓은 실내공간과 높은 천장을 가진 구조라 일반 실내보다 공조 설계가 훨씬 까다로워요. 디시인사이드나 네이버카페 건축·HVAC 게시판에서도 “아트리움 환기량 어떻게 잡냐”는 질문이 계속 올라오고 있답니다.

    이 글에선 기본 원리부터 환기량 산정, 시스템 적용 사례까지 한 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커뮤니티 합의 내용 기준)

     

    1️⃣ 기본 공조 원리 & Zoning

    아트리움은 상부와 하부의 온·습도 차이가 크게 발생하기 쉬워요. 그래서 층별 또는 구역별로 Zoning 해서 공조기를 배치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디시인사이드에서도 “상부 열층화 방지를 위해 천장 환기구를 다단 배치하라”는 팁이 종종 공유됩니다.

     

    2️⃣ 환기량 산정 방법

    국내 기준(KS B ISO 17772)에 따르면, 인원수 및 공간 부피에 따라 최소 10–20㎥/h·인 정도로 계산해요. 아트리움처럼 공공 공간은 30㎥/h·인 이상 잡는 경우가 많습니다.

    네이버카페에서도 “1명당 30㎥/h로 하면 끄윽거림 없이 쾌적하더라”는 경험담이 심심찮게 올라와요.

     

    3️⃣ 시스템 적용 사례

    ① AHU+CTCU 조합: 대형 AHU로 기본 급배기, 천장 CTCU(ceiling fan coil unit)로 국부 냉난방을 병행하는 방식이 대표적입니다.

    ② DOAS(double-duct) 시스템: 외부 공기 전처리용 DOAS와 내부 냉난방 전용 AHU를 분리해 제어성을 높이는 방법이 커뮤니티에서 “최적”으로 꼽힙니다. 제가 한 프로젝트에서 DOAS 도입 후 냉방 균일도가 크게 개선됐던 기억이 있어요.

     

    “어떤 시스템을 먼저 도입해야 할지 모르겠나요?” 라는 분들을 위해, 먼저 환기 요건부터 검토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 FAQ (자주하는 질문&답변)

    ❓ 천장 높이 10m 이상이면 별도 장치는?

    👉 고천장용 서큘레이터나 데시캔트 제습기를 추가해 상·하부 공기 섞임을 유도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 공조 부하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 Heat balance 방식으로 창면적, 외기온, 인원부하 등을 반영해 종합 부하를 산출합니다. 커뮤니티 툴킷으로 간편 계산이 가능해요.

    ❓ 유지관리 팁이 있을까요?

    👉 필터와 덕트 청소 주기를 3개월 이하로 잡고, 팬·코일 점검을 연 1회 이상 실시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 결론

    아트리움 공조는 Zoning 설계, 충분한 환기량 확보, AHU+CTCU 혹은 DOAS 시스템 적용이 핵심 포인트예요. 오늘 바로 기초 환기량부터 산정해 보는 걸로 시작해 보세요!

     

    🌐 커뮤니티 참고 게시글 〉〉

     

    🔍 더 알아보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