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점성계수와 동점성계수 차이점은?

by 척척기술사 2025. 8. 3.
    반응형

     

    💧 점성계수 vs 동점성계수 차이점

    점성계수(viscosity coefficient)와 동점성계수(kinematic viscosity)는 유체의 흐름 특성을 나타내는 두 가지 지표예요. 디시인사이드나 네이버카페 유체역학 게시판에서도 “둘이 뭘로 구분하냐”는 질문이 자주 올라오더라고요.

    간단히 말해, 점성계수는 내부 마찰의 세기, 동점성계수는 그 마찰을 질량으로 나눈 값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점성계수(μ) 개념

    점성계수 μ는 유체 층간의 미끄럼 저항력을 나타내는 계수로, 단위는 Pa·s(파스칼 초)예요. 점도가 크면 유체가 끈적끈적해져 흐름이 느려집니다.

    커뮤니티에서도 “오일 점성계수 높으면 엔진 소음 줄인다”는 얘기가 널리 통용되고 있죠.

     

    🌡️ 동점성계수(ν) 개념

    동점성계수 ν는 점성계수 μ를 유체의 밀도 ρ로 나눈 값으로, 단위는 m²/s(제곱미터 퍼 초)예요. 즉 ν = μ/ρ 로 정의됩니다.

    “점성만큼 무거움도 고려해야지”라는 네이버카페 조언처럼, 밀도 차이를 감안해 유체 거동을 비교하고 싶을 때 동점성계수를 씁니다.

     

    🔄 서로 어떻게 연결되나요?

    점성계수 μ와 동점성계수 ν는 단순히 밀도 관계 ν = μ/ρ 로 연결됩니다. 높은 점성계수라도 밀도가 높으면 동점성계수는 낮아질 수 있어요.

    제가 실험실에서 식용유와 물의 동점성계를 비교해 보니, 물보다 식용유가 μ는 크지만 ρ도 크다 보니 ν 차이가 더 컸습니다.

     

     

     

     

    🤔 FAQ (자주하는 질문&답변)

    ❓ 점성계수와 동점성계수 중 어느 걸 써야 하나요?

    👉 유체의 내부 마찰 자체를 알고 싶으면 점성계수 μ, 유체 간 흐름 비교나 레이놀즈 수 계산 등 운동 특성을 다룰 땐 동점성계수 ν를 주로 씁니다.

    ❓ 유체가 가벼우면 동점성계수가 무조건 큰가요?

    👉 밀도가 작으면 ν = μ/ρ 식에서 분모가 작아져 ν가 커집니다. 단, μ 값도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비교가 됩니다.

    ❓ 실무에서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 점성계수는 레오미터나 점도계로 측정하고, 밀도는 비중병 등을 사용해 구한 뒤 ν를 계산합니다.

     

     

     

    🏁 결론

    점성계수는 유체의 내부 마찰력, 동점성계수는 그 마찰을 밀도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두 지표를 활용해 유체의 흐름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해 보세요!

     

    🌐 참고할만한 사이트 〉〉

     

    🔍 더 알아보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