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Network 공정표의 장,단점

by 척척기술사 2025. 4. 1.
  1. Network 공정표의 장,단점
  2. Network 공정표란?
  3. Network 공정표의 장점
    1. ① 작업 간 연계 파악에 유리
    2. ② 공정 지연의 핵심 원인 식별 가능
    3. ③ 재해 방지 및 자원 배치 최적화
    4. ④ 계량적 분석에 적합
    5. ⑤ 시뮬레이션 및 공기 단축 시나리오 적용 용이
  4. Network 공정표의 단점 및 한계점
    1. ① 작업 분해와 의존관계 정의가 복잡
    2. ② 작업자 중심 현장 적용이 어렵다
    3. ③ 수정·변경이 어려움
    4. ④ 소규모 공사에는 과도한 도구
  5. 마무리
  6.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반응형

Network 공정표의 장,단점

Network 공정표의 장,단점Network 공정표의 장,단점

오늘은 기계설비공사에서 자주 사용하는 Network 공정표, 특히 CPM(Critical Path Method)을 기반으로 한 공정관리 방식의 장점과 단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기계설비공사는 구조·건축공정에 맞물려
공조, 급배수, 위생, 자동제어 등 다수의 전문 공종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므로 공정 간 선·후행 관계를 명확히 시각화할 수 있는 도구가 필수입니다. 이럴 때 Network 공정표가 가장 효과적인 도구로 작용합니다.

 

 

 

 

Network 공정표란?

Network 공정표는 작업 간의 논리적 선후 관계를 연결선(화살표)로 표현하여, 전체 공사 기간과 핵심 작업 경로(Critical Path)를 파악할 수 있는 공정관리 도구입니다.

 

작업(Activity)을 노드로 표현하고, 의존관계에 따라 작업 간 연결선을 그려 전체 흐름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주로 PERT나 CPM 기법을 활용해 일정관리를 수행합니다.

 

 

Network 공정표는 마치 기계설비공사의 ‘로드맵 내비게이션’과 같습니다. 각 작업이 언제 시작해서 어디로 연결되고, 어떤 작업이 늦어지면 전체 일정에 영향을 주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해주는 도구인 거죠.

 

 

 

 

Network 공정표의 장점

① 작업 간 연계 파악에 유리

설비공사는 전기·건축과 동시 다발로 진행되므로, 어떤 작업이 선행되어야 다음 작업이 가능한지를 명확하게 보여줌
(예 : 덕트 설치 → 배관 설치 → 단열 → T&B → 시운전)

 

② 공정 지연의 핵심 원인 식별 가능

전체 공기 지연을 유발하는 ‘주 경로(Critical Path)’ 식별 가능. 핵심경로 상 작업 지연 시 즉각적인 대응 가능

 

③ 재해 방지 및 자원 배치 최적화

병행작업 여부 판단을 통해 작업자 간 간섭 회피. 기계실, EPS 등 밀집 공간 내 작업계획 수립에 효과적

 

④ 계량적 분석에 적합

조정작업(Floating), 여유시간(Slack), 총공기 계산 등. 공정 진도율을 수치화해서 객관적 평가 가능

 

⑤ 시뮬레이션 및 공기 단축 시나리오 적용 용이

특정 작업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병행시켰을 때 전체 일정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사전 예측 및 분석이 가능

 

 

 

 

 

Network 공정표의 단점 및 한계점

① 작업 분해와 의존관계 정의가 복잡

기계설비공사는 간접작업, 공통작업, 반복작업이 많아 Activity 정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
(예 : 배관 설치 하나만 해도 구역, 직경, 재질별로 세분화 필요)

 

② 작업자 중심 현장 적용이 어렵다

시각적으로 복잡하여 현장작업자나 하도급 팀장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움. Bar Chart(간트 차트)에 비해 현장 전파성 떨어짐

 

③ 수정·변경이 어려움

중간에 작업 순서나 방식이 바뀌면 전체 네트워크를 재작성해야 하므로 실시간 관리 측면에서는 비효율적

 

④ 소규모 공사에는 과도한 도구

단위작업이 적은 소규모 현장에서는 과도한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며, 단순 간트차트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음

 

 

 

 

마무리

정리해보자면, Network 공정표는 작업 간 연계성과 핵심 경로를 분석하여 기계설비공사의 일정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할 수 있는 고급 도구입니다.

 

다만, 초기 작성의 복잡성과 시공 현장 적용의 어려움이 존재하므로 중·대형 공사나 다수의 공종이 병행되는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이며, 소규모 공사에는 바 차트와 병행하는 방식이 현실적입니다.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 (25년 3월 업뎃)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서브노트 만들고는 싶은데 레퍼런스가 없으신 분들을 위해직접 만들었습니다. 1교시 용어 문제에 대한 서브노트를 만들었구요.(서술문제는 각자 알아서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126회~135회)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기술사 시험 합격에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백지에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아래의 3개년 기술사 기출문제를 보시고본인이 과연 어느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