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KT 수익구조

by 척척기술사 2025. 3. 4.
    반응형

    KT 수익구조



    KT는 무선통신, 유선통신, 미디어, 기업서비스, 금융,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통신 기업입니다. 각 부문별 주요 수익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선통신 부문: 이동전화 서비스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며, 5G 가입자 증가와 로밍 서비스 확대 등의 영향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5G 가입자 비율은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7.8%를 차지했습니다.  

    유선통신 부문: 초고속인터넷과 유선전화 서비스를 포함하며,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로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전년 대비 1.1%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유선전화 매출은 가정 내 수요 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7.3% 감소했습니다.  

    미디어 부문: IPTV 서비스 등을 포함하며, 전체 가입자 증가와 고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 가입자 확대를 통해 전년 대비 1.2%의 매출 성장을 이뤘습니다.  

    기업서비스 부문: 기업 인터넷, 데이터 서비스, AI 컨택센터(AICC), 스마트 모빌리티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저수익 사업 구조 개선과 서비스형 사업 중심의 성장으로 매출이 전년 대비 2.5% 증가했습니다.  

    금융 부문: BC카드와 케이뱅크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며, BC카드는 자체 카드 이용액 증가와 플랫폼 수익 성장으로 수익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케이뱅크는 고객 수와 여수신 잔액의 꾸준한 증가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부문: kt cloud를 통해 글로벌 고객의 데이터센터 이용률 확대와 클라우드 사업의 공공 분야 고객 유지 강화로 매출이 전년 대비 6.8% 성장했습니다.  

    2024년 KT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26조 4,312억 원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하여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4분기 인력 구조조정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반영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0.9% 감소한 8,095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KT는 이러한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AI와 클라우드 등 신성장 사업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AICT(AI와 정보통신기술 융합)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여 연결 기준 매출 28조 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