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연말정산 매년 300만원 돌려받는 방법

by 척척기술사 2025. 2. 19.
    반응형
    연말정산 풀로 땡기기 위해서는?


    연말정산은 내가 어떻게 준비하고 소비 및 저축하냐에 따라 연말정산 시 돌려받는 금액이 천차만별입니다. 세금을 매년 300만원씩 돌려받는 사람이 있는가 반면 매년 50만원씩 더 내야하는 사람도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연말정산 시 최대한 땡겨받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말 정산 잘 받는 법 💰


    1.  연금저축/IRP

    • 공제금액 : 매년 900만원까지 공제
    • 공제방식 : 세액공제
    • 환급금액 : 148.5만원 (일반) / 118.8만원 (고소득자)
    일반 : 연봉 5,500만원 이하
    고소득자 : 연봉 5,500만원 이상


    2. 부양가족 공제

    • 공제금액 : 매년 인당 150만원까지 공제
    • 공제방식 : 소득공제
    • 환급금액 : 22.5만원 (세율 15% 기준)


    3. 주택청약종합저축 공제

    • 공제금액 : 매년 300만원까지 공제 (750만원 저축시)
    • 공제방식 : 소득공제
    • 환급금액 : 45만원 (세율 15% 기준)
    • 특기사항 : 연소득 7천만원 미만 근로자만 가능


    4. 주택전세자금 상환 공제

    • 공제해설 : 전세대출 이자+원리금 상환 시 공제
    • 공제금액 : 매년 400만원까지 공제 (1000만원 상환 시)
    • 공제방식 : 소득공제
    • 환급금액 : 60만원 (세율 15% 기준)
    • 특기사항 : 84타입 이하 평형에 대한 대출만 가능합니다.



    📌 결론


    이외에도 다양한 소득공제 항목들이 많지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연말정산 항목들만 모아보았습니다. 위의 항목들만 공제받아도 매년 276만원 환급을 받을 수 있구요. 여기에 신용카드 공제니 의료비, 교육비 등등 공제를 받으면 매년 3~4백만원은 돌려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주의하실 점은 연금저축이든 청약통장이든 뭐든 한 번 저축한 금액은 돈이 계좌에 묶여버리기 때문에 환금성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특히나 결혼자금 목돈 마련한다고 청약통장 깨야되는 상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제가 그랬거든요…) 일단 저축해서 소득공제를 받을 것이냐? 아니면 돈을 묶여놓지 않고 캐쉬플로우를 좋게 할 것이냐? 에 대해서는 일장일단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