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현열과 잠열이란? 개념/비교/예시

by 척척기술사 2025. 2. 1.
    반응형

    현열과 잠열이란?

    기술사 공부를 하다 보면, 개념은 알겠는데 실제 시험장에서 어떻게 적어야 하는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현열과 잠열에 대한 내용을 실제 시험장에서 적을 수 있는 수준의 난이도로 서브노트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서브노트를 틈틈이 보시고 시험장에 들어가시면 답안지를 막힘없이 적는 데에 분명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다들 원하시는 기술사 시험 꼭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 개요
    현열과 잠열은 열역학에서 물질이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형태의 에너지 변환을 의미합니다. 현열은 온도를 변화시키는 열이며, 잠열은 물질의 상태(고체, 액체, 기체)를 변화시키는 열입니다. 이 두 개념은 열전달 및 냉난방 시스템 설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현열(Sensible Heat)
    현열은 물질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열을 말합니다. 온도 변화가 눈에 보이기 때문에 **Sensible(감지 가능한)**이라는 용어가 사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질의 상태는 변하지 않으며, 열량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 Q = mcΔT

    여기서 Q는 열량, m은 질량, c는 비열(specific heat), ΔT는 온도 변화입니다.

    예시 : 물을 20℃에서 80℃로 가열할 때 현열이 작용합니다.

     

     

    📌 잠열(Latent Heat)
    잠열은 물질이 상태 변화를 할 때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로, 온도 변화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으로 융해열(고체→액체)과 기화열(액체→기체)이 있습니다. 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 필요한 잠열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 Q = mL

    여기서 Q는 열량, m은 질량, L은 상태 변화에 필요한 잠열(latent heat)입니다.

    예시 : 물이 100℃에서 끓어 수증기로 변할 때 잠열이 작용합니다.

     

     

     

    📌 현열과 잠열의 비교

    1. 온도 변화 여부
      현열은 온도가 변하지만 상태 변화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잠열은 상태 변화가 일어나지만 온도는 변하지 않습니다.
    2. 열량 공식
      현열 : Q = mcΔT
      잠열 : Q = mL
    3. 응용 분야
      현열은 냉난방 시스템에서 온도 조절에 활용됩니다.
      잠열은 증기 발생, 응축기, 냉동기 등 상태 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응용 예시
    냉동기에서 냉매가 증발할 때 잠열을 흡수하여 주위의 열을 제거합니다. 반대로 응축기에서는 냉매가 응축하면서 잠열을 방출하여 열을 외부로 방출합니다. 또한, 공조 시스템에서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될 때 방출되는 잠열을 통해 습도를 조절합니다.

     

     

    📌 관련 개념

    • 비열(Specific Heat) : 물질이 1℃ 온도 변화에 필요한 열량
    • 상변화(Phase Change) : 물질이 고체, 액체, 기체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
    • 열전달(Heat Transfer) : 전도, 대류, 복사를 통해 열이 이동하는 현상

    정리해보자면, 현열과 잠열은 물질이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두 가지 기본 개념으로, 이를 명확히 이해하면 열역학 및 공조 시스템 설계와 관련된 문제를 효과적으로 풀어낼 수 있습니다. 시험장에서 관련 개념이 나왔을 때 자신 있게 답안을 작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열과잠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