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연결기준 뜻

by 척척기술사 2025. 1. 22.
    반응형

    연결기준이란?


    회계 연결기준은 여러 개의 회사를 하나의 큰 기업처럼 보고, 이들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하나로 합쳐서 정리하는 방식입니다. 즉, 모회사와 자회사가 있으면, 개별적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모두 합쳐서 하나의 재무제표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연결기준 적용하는 이유


    이렇게 하는 이유는 회사들이 따로따로 기록하면 전체적인 재무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모회사가 자회사에 물건을 팔았다면 모회사는 매출로 기록하고, 자회사는 비용으로 기록하겠지만, 실제로 외부에서 본다면 같은 그룹 안에서 돈이 움직였을 뿐이므로 이런 내부거래는 연결 재무제표를 만들 때 빼야 합니다. 그래야 전체적으로 그룹의 진짜 재무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연결기준 특징


    연결기준에서는 모회사가 자회사의 의사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따져서, 영향력이 크다면 연결 대상으로 보고 함께 재무제표를 작성합니다. 이렇게 연결된 재무제표에는 재산, 부채, 수익, 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고, 자회사 중 모회사가 100% 소유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주주들이 가진 지분을 따로 표시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연결 기준을 적용하면 기업의 전체적인 경제적 실체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서, 투자자나 금융기관이 기업의 재무 상태를 보다 신뢰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기업의 경영진도 연결 재무제표를 통해 그룹 전체의 재무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서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