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수배전반 업체 순위

by 척척기술사 2025. 1. 22.
    반응형

    수배전반 업계에서는 기업들이 공공기관과 민간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수주 실적은 해당 기업의 시장 점유율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2024년 기준으로 관급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들의 수주액과 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투파워
    먼저, 1위는 지투파워(G2Power)로, 2024년 기준 약 605억 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수배전반 부문에서 350억 원을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투파워는 수배전반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하며, 국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관급 시장 점유율 **4.75%**를 차지하며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렉콤
    2위는 일렉콤(Eleccom)으로, 약 196억 8,800만 원의 수주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일렉콤은 사회적 기업으로서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관급 시장에서 큰 성과를 내고 있으며, 지속적인 수주 증가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서전기전
    3위는 서전기전(Seojeon Electric)입니다. 이 회사는 약 171억 4,700만 원의 수주 실적을 보이며, 전동기 제어반 및 배전반 분야에서 꾸준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다양한 건설 및 산업 현장에서 오랜 기간 신뢰를 쌓아왔으며, 안정적인 제품 품질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골드텍
    4위는 골드텍(Goldtech)으로, 수주액은 약 120억 4,000만 원입니다. 골드텍은 배전반 제조 분야에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며, 특히 기술 혁신을 통한 효율적인 전력 공급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세종전기공업
    5위는 세종전기공업(Sejong Electric)으로, 수주액은 약 115억 8,400만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세종전기공업은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관급 시장뿐만 아니라 민간 시장에서도 꾸준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삼성파워텍
    6위는 삼성파워텍(Samsung Powertech)이며, 약 111억 5,800만 원의 수주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삼성파워텍은 공공기관 및 대형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많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베스텍
    7위는 베스텍(Bestec)으로, 약 107억 3,300만 원을 수주하였습니다. 베스텍은 친환경 및 고효율 배전반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케이디파워
    8위는 케이디파워(KD Power)로, 수주액은 약 105억 7,200만 원입니다. 케이디파워는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신뢰를 쌓고 있으며, 안정적인 품질과 고객 서비스로 시장에서 꾸준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수배전반 시장에서는 다양한 기업들이 경쟁하며 각자의 강점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품질 개선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기업들의 동향을 주시하며, 각 기업의 수주 실적과 시장 점유율 변화가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