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수배전반 계통도 완벽해설

by 척척기술사 2025. 1. 22.
    반응형


    수배전반 계통도


    수배전반 계통도는 전기가 어떻게 들어오고, 변환되며, 최종적으로 각종 장비나 조명 등으로 전달되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도면입니다. 쉽게 말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기를 받아서 적절한 형태로 바꾼 후, 건물이나 공장의 여러 구역에 안전하게 배분하는 과정이 순서대로 나타나 있습니다.


    특고압수전단계


    먼저, 전력회사의 고압 전력(예: 22.9kV)이 공급되면, 이를 수배전반의 ‘수전 설비’에서 받아들입니다. 이때 전기는 단순히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차단기와 같은 안전 장치를 통해 먼저 점검되고, 필요할 경우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이 과정에서 고압 개폐기(VCB, ACB)와 같은 장치가 사용됩니다. 이러한 장치는 전기에 이상이 생겼을 때 자동으로 차단하여 시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변압단계


    다음 단계는 변압기에서 전압을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고압 전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변압기를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저압(380V 또는 220V)으로 변환합니다. 변압이 완료된 후에는 ‘배전 설비’를 통해 전기가 여러 방향으로 나뉘어 갑니다.


    배전단계


    배전 설비에서는 변압된 전기를 여러 구역으로 분배해 주는 역할을 하며, 여기에는 배전반과 분전반이 포함됩니다. 배전반은 건물 전체에 전력을 분배하는 중심 역할을 하고, 분전반은 특정 구역이나 장비로 세분화하여 전력을 공급합니다. 예를 들어, 건물의 각 층마다 분전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배전반에서 나뉘어진 전기는 다양한 부하(즉, 실제로 전력을 사용하는 기기)로 전달됩니다. 이 부하에는 조명, 콘센트, 공장 기계, 냉난방 장치 등이 포함됩니다. 전기가 각 부하로 안전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분전반에서는 차단기(MCB, MCCB)를 사용하여 필요할 때 전기 흐름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수배전반 계측장비


    또한, 수배전반에는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전압계(Voltmeter), 전류계(Ammeter) 등의 계측 장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압과 전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발생하면 계전기(relay)가 작동하여 차단기를 통해 전력을 차단합니다.



    접지시스템


    마지막으로, 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접지(grounding)입니다. 접지는 누전이나 감전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전류가 안전하게 흐를 수 있도록 땅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전기 사고를 방지하고 사람과 장비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수배전반의 역할은 고압 전력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변환하고 분배하는 것입니다. 수배전반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전력 사고로 인해 시설이 마비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