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현장대리인 자격요건

by 척척기술사 2025. 1. 18.
    반응형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현장대리인 자격요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장대리인이란?

      현장대리인은 쉽게 말해 현장소장입니다. 건설 현장에서 발주처와 시공사를 대표하여 공사를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책임지는 현장의 최고 책임자를 의미합니다. 발주처와 계약한 시공사가 공사의 실행을 위해 현장에 상주시키는 인력으로, 법적·행정적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장대리인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장관리 : 현장이 잘 운영되도록 관리합니다.

      시공관리 : 건물이 잘 지어지도록 관리합니다.

      품질관리 : 건물이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안전관리 : 사고가 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법적책임 : 현장의 모든 사고에 대해 책임집니다.

      민원관리 : 주변 민원인들을 관리합니다.

       

       

      현장대리인 자격요건

      현장대리인은 법적으로 그 자격요건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현장대리인의 자격요건은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현장대리인 자격요건 다운로드]

      [별표 5] 공사예정금액의 규모별 건설기술인 배치기준(제35조제2항 관련)(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pdf
      0.11MB

       

      첨부파일을 열어보시면 현장 규모별 현장대리인의 자격요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장대리인 자격요건

       

       

       

       

      현장대리인 자격요건 특징

      1. 현장의 규모가 클수록 현장대리인의 자격요건이 강화됩니다. 작은 현장은 기사자격증에 경력만 있어도 되지만 중규모 이상의 현장에서는 현장대리인은 무조건 기술사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만 될 수 있습니다.

       

      2. 기술사 자격증은 기사 자격취득이후 4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사람만 응시할 수 있으며, 수험기간만 2~3년에 달하는 어려운 시험입니다. 즉 우리나라에서 제한하고 있는 현장대리인의 수준은 최소 7년 이상의 현장 경험을 한 경력자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현장대리인 자격요건이 지켜져야 하는 이유

      건설현장의 경우 작은 실수로도 큰 인명피해가 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산업재해의 많은 부분을 건설업에서 차지하고 있구요. 그렇기 때문에 건설현장의 최고책임자는 당연히 현장에 대해 잘 아는 기술자가 배치되어야 합니다. 

       

      기술자의 역량은 주관적인 부분이 크기 때문에 기술사 자격이라는 최소 제한이 두고 있습니다. 기술사를 따기 위해서는 많은 현장 경험과 노하우가 필요한 일이기에 현장대리인이 되려면 최소한 기술사 정도 수준의 능력은 되어야 한다 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기타 다른 기준들도 궁금하다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