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배수설비 설계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배수수직관(Drainage Stack) 내에서의
종국유속(Terminal Velocity)과 종국길이(Terminal Length)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개념은 수직관 내에서 배수유속이 일정해지는 구간을 정의하는 요소로,
공기흡입, 봉수 파괴, 소음, 배수성능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종국유속 (Terminal Velocity)란?
정의
배수수직관 내에서 배수수가 중력에 의해 가속되다가,
공기저항 및 마찰 등의 영향으로 더 이상 유속이 증가하지 않고 일정해지는 최대유속을 의미합니다.
즉, 중력에 의한 가속과 마찰 저항이 평형에 도달한 유속 상태이며,
이 속도 이상으로는 더 빨라지지 않는 한계 유속입니다.
특징
- 일반적으로 2.5 ~ 5.0 m/s 수준에서 형성됨
- 유량, 배관경, 관 마찰계수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종국유속 상태에서는 배수관 내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됨
🚿 종국길이 (Terminal Length)란?
정의
배수수가 수직관 내에서 낙하를 시작하여
종국유속에 도달하기까지의 거리(길이)를 말합니다.
즉, 유속이 점점 증가하다가 일정해지기까지 필요한 수직거리입니다.
특징
- 일반적으로 배수구에서 약 0.75 m ~ 2.0 m 이내에서 형성됨
-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종국길이 이상의 구간에서는
안정된 유속 조건(종국유속)으로 흐르게 됨 - 이 구간에서는 배수관 내 공기압 변화가 커서, 통기관 설계와 직접 연계됨
🚿 설계 시 고려사항
항목 | 이유 |
종국유속 고려 | 지나치게 높은 유속은 봉수파괴, 소음, 진동 등의 원인이 됨 |
종국길이 고려 | 종국길이 구간에는 공기 흡입이 급격히 이루어져, 통기계통의 적절한 설계가 필요 |
※ 통기관 설치 위치와 높이를 이 기준 이상으로 설계해야 함
✅ 결론 요약
구분 | 정의 | 설계적 의미 |
종국유속 | 배수수직관 내 유속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해지는 속도 | 낙하유속이 안정되는 기준, 봉수파괴 및 소음 고려 |
종국길이 | 낙수 유속이 종국유속에 도달하기까지의 수직거리 | 통기관 위치 결정, 공기압 변화 관리에 필수 |
배수수직관 설계 시, 이 두 개념을 고려하지 않으면 급격한 음압, 배관 소음, 봉수 파괴, 악취 역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본 개념으로 반드시 이해하고 설계 반영이 필요한 항목입니다.
🔍 더 알아보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 (25년 3월 업뎃)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 서브노트 만들고는 싶은데 레퍼런스가 없으신 분들을 위해직접 만들었습니다. 1교시 용어 문제에 대한 서브노트를 만들었구요.(서술문제는 각자 알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126회~135회)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기술사 시험 합격에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백지에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아래의 3개년 기술사 기출문제를 보시고본인이 과연 어느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