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품할 때 침나옴 현상 원인/해결방안
하품할 때 침이 튀어나오는 현상은 의외로 흔한 일이지만, 자주 반복되면 당황스럽거나 민망할 수 있죠.
이건 병이라기보단 구강과 안면 근육, 침샘, 호흡 습관이 맞물린 생리적 현상에 가깝습니다. 아래에서 원인과 해결 방법을 간단히 정리해드릴게요.
하품할 때 침이 나오는 원인
1. 침 분비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때
하품은 무의식적으로 입을 크게 벌리고 호흡을 바꾸는 행위입니다. 이 과정에서 혀 밑의 침샘(설하선·악하선)이 자극을 받아 침이 순간적으로 분출될 수 있어요.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엔 더 잘 튀어나옵니다
• 자는 동안 침 분비가 많았던 경우
• 입안이 꽉 차 있거나, 혀가 뒤쪽으로 밀릴 때
• 하품할 때 혀가 아래에서 위로 빠르게 움직이는 습관이 있을 때
2. 입술·혀·목 근육의 긴장도 불균형
평소에 입 근육이나 혀 움직임이 조절되지 않으면,
하품과 함께 침이 입 바깥으로 튀는 방향으로
밀려나올 수 있습니다.
예 : 턱이 긴장되거나 입을 갑자기 세게 벌리는 경우
→ 침샘을 압박하고, 혀가 침을 튀기게 만드는 구조
3. 구강 구조나 치아 배열 영향
치아 사이가 벌어져 있거나, 혀 짧음증, 구강이 작은 사람은
침이 고이는 위치가 바깥쪽으로 쏠리기 쉬워 하품과 함께 침이 새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4. 침 삼키는 반사 작용이 미뤄질 때
하품할 때는 일시적으로 침 삼키는 반사가 멈춥니다.
그 상태에서 침이 많으면 입 안의 압력 변화에 의해
튀어나올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및 관리 팁
1. 하품할 때 손으로 입 가리기
기본적인 에티켓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손으로 입 모양을 살짝 눌러주면
침이 튀는 걸 막아주는 역할도 합니다.
입을 다 벌리지 말고 입 근육에 약간 힘을 주어 조절해보세요.
2. 혀 움직임 조절하기
하품할 때 혀를 위로 세게 밀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훈련해보세요.
혀가 윗입천장에 닿으면 침샘을 더 자극하므로,
혀를 아래로 두거나, 입 안쪽에 편안히 둔 상태가 좋습니다.
3. 수분 조절 및 구강건강 관리
침 분비량이 너무 많거나, 잇몸 염증이 있을 때도 침이 쉽게 튀어나옵니다.
• 물 섭취를 적당히 하고
• 자극적인 음식(신 것, 짠 것)을 피하고
• 구강세정제나 치실 등으로 잇몸 건강 유지하는 것도 침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4. 자주 그럴 경우 구강 구조 확인
지속적으로 침 분출이 심하다면 이비인후과나 치과에서 혀/턱/침샘 위치나 기능 이상을 체크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결론 요약

정리하자면
하품할 때 침이 튀는 건 대부분 비정상은 아니며,
혀와 입 근육의 움직임, 침샘 자극, 하품 자세가 맞물려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하지만 자주 불편을 느낀다면 입을 덜 벌리기, 혀 위치 바꾸기, 침 삼키기 훈련 등을 통해 얼마든지 개선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