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원 둘레 구하는 공식

by 척척기술사 2025. 4. 8.
    반응형

    원 둘레 구하는 공식


    ‘원의 둘레 구하는 공식’에 대한 설명을 수학에 익숙하지 않은 분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원의 둘레란?

    먼저, ‘둘레’가 뭐냐고 묻는다면,
    원을 한 바퀴 빙 둘러서 재는 길이라고 보면 됩니다.

    즉, 우리가 자로 잴 수는 없지만, 만약 그 원을 실로 감싸서 그 실의 길이를 잰다면
    그게 바로 둘레의 길이, 즉 원주의 길이입니다.

    이 둘레를 계산하는 공식은 아주 간단하지만, 그 안에는 깊은 원리가 담겨 있습니다.



    원의 둘레 공식


    둘레 = 2 × π × r


    여기서
    • π(파이)는 약 3.14159
    • r은 반지름(radius), 즉 원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입니다.

    공식에 등장하는 ‘2’는 왜 들어갔을까요?
    그건 원의 지름(diameter)이 ‘반지름 × 2’이기 때문입니다.

    즉, 다른 방식으로도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둘레 = π × d

    (d는 지름입니다)

    결국, 둘레는 지름에 π를 곱한 것과 같다는 말이죠.



    예시로 이해해보기

    예시 1 : 반지름이 5cm인 원
    → 둘레 = 2 × π × 5 = 2 × 3.14159 × 5 ≈ 31.42cm

    예시 2 : 지름이 10m인 원
    → 둘레 = π × 10 = 3.14159 × 10 = 31.42m

    ※ 반지름이 5cm인 원은 지름이 10cm이므로, 두 공식은 서로 정확히 연결됩니다.



    이 공식은 왜 이렇게 생겼을까?

    아주 예전부터 수학자들은 원을 일직선으로 펴서 길이를 재고 싶어 했습니다.
    그래서 시도해본 게, 지름 대비 둘레가 얼마나 되는지를 실험한 것이죠.

    그 결과 언제나 지름에 약 3.14배를 곱한 길이가 나왔고,
    그 비율을 바로 π(파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즉, 원 둘레 = 지름 × π,

    이 원리를 바탕으로 공식이 탄생한 것입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

    만약 도넛 하나를 손에 들고 그 둘레에 실을 감아본다고 상상해보세요.
    그 실의 길이가 바로 도넛의 둘레입니다.
    도넛이 커질수록, 즉 반지름이 커질수록 실도 길어지겠죠?

    그 실 길이를 계산하는 것이 바로 ‘2 × π × r’이라는 공식입니다.



    실생활에서 둘레 공식은 언제 쓰일까?

    • 정원 테두리 돌기
    원형 잔디밭 가장자리를 따라 벽돌을 놓을 때
    • 원형 테이블 커버 만들기
    천의 가장자리에 레이스를 두를 때 필요한 길이
    • 파이·피자 크기 비교
    작은 파이 vs 큰 파이 중 어느 쪽이 둘레가 더 긴지 확인할 때
    • 자동차 타이어 계산
    타이어가 한 바퀴 굴렀을 때 이동하는 거리 = 타이어 둘레



    정리해보자면,

    • 공식은 2 × π × 반지름, 또는 π × 지름입니다.
    • 파이(π)는 약 3.14159로, 원의 지름 대비 둘레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 반지름이 커질수록 둘레는 선형적으로 길어지며, 지름으로 바꿔도 동일한 계산이 가능합니다.
    • 실생활에서는 원형 구조물의 경계나, 피자 크기, 타이어 회전거리 계산 등에 널리 쓰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