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열량/열용량/비열/비열비 차이점 정리

by 척척기술사 2025. 4. 7.
    반응형

    열량/열용량/비열/비열비 차이점 정리

     

    열전달 계산을 하다 보면 비슷비슷한 용어가 계속 등장합니다.
    열량, 열용량, 비열, 비열비.


    처음엔 다 같은 개념처럼 보이지만,
    실제 적용에서 헷갈리기 시작하면 공식도 해석도 꼬이게 됩니다.

     

    이번에는 이 네 가지 개념을 하나하나 풀어서 비교하고,
    공식, 단위, 의미, 적용 예시까지 모두 정리해보겠습니다.

     

     

     

    열량 (Heat, Q)

    ‘얼마나 많은 열에너지가 전달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에너지의 총량입니다.

    · 단위 : J (줄), kcal (킬로칼로리), kWh (킬로와트시)
    · 공식 :
     - Q = C × ΔT
     - Q = m × c × ΔT
    · 의미 : 온도를 변화시키는 데 실제로 소비된 에너지

     

    예시
    물 1kg을 1℃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 = 약 4,186 J
    공조에서 냉난방부하, 급탕 부하 계산 시 자주 사용

     

     

     

     

     

     

    열용량 (Heat Capacity, C)

    어떤 물체 전체가 1℃ 오르기 위해 필요한 열량

    · 단위 : J/℃, kcal/℃
    · 공식 : Q = C × ΔT
    · 의미 : 물체 전체가 가지는 열 보유 능력 (비열과 질량의 곱)

     

    예시
    100L 물탱크의 열용량 = 물의 비열 × 100kg ≈ 418,600 J/℃

     

     

     

     

     

    비열 (Specific Heat, c)

    물질 1kg이 1℃ 오르기 위해 필요한 열량
    즉, 물질 고유의 성질

    · 단위 : J/kg·℃, kcal/kg·℃
    · 공식 : Q = m × c × ΔT
    · 의미 : 열을 얼마나 흡수하거나 방출하는가에 대한 물질 특성

     

    예시
    물 : 4,186 J/kg·℃
    공기 : 약 1,005 J/kg·℃
    동(구리) : 약 385 J/kg·℃

     

     

     

     

    비열비 (Ratio of Specific Heats, γ)

    기체의 열역학에서 나오는 개념으로,
    정압 비열 / 정적 비열의 비율입니다.

    · 기호 : γ (감마)
    · 공식 : γ = cp / cv
      - cp : 정압 비열 (constant pressure)
      - cv : 정적 비열 (constant volume)
    · 단위 : 없음 (비율)
    · 의미 : 기체의 압축성, 열역학 해석에 필수
      →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단열팽창 해석 등

     

    예시
    공기 : cp ≈ 1.005, cv ≈ 0.718 → γ ≈ 1.4
    CO₂ : γ ≈ 1.3
    증기 : γ ≈ 1.3 ~ 1.35

     

     

     

     

     

     

    네 가지 개념 비교 정리 표

    항목 의미 공식 단위 특징
    열량(Q) 전달된 열의 총량 Q = C×ΔT = m×c×ΔT J, kcal 실질적 에너지 총량
    열용량(C) 물체 전체의 1℃당 열량 C = Q/ΔT = m×c J/℃ 질량이 클수록 커짐
    비열(c) 1kg당 1℃당 필요한 열량 c = Q/(m×ΔT) J/kg·℃ 물질 고유의 성질
    비열비(γ) 정압비열 / 정적비열의 비율 γ = cp / cv 무차원 기체의 열역학 특성 지표

     

     

     

     

     

    실무 적용 정리

    · 냉난방부하 계산 : 열량 Q 중심으로
    · 축열조나 온수탱크 설계 : 열용량 C 계산 필요
    · 냉매 선택, 유체 비교 : 비열 c로 판단
    · 공기 압축/팽창 해석 : 비열비 γ로 단열지수 해석

     

     

     

     

    결론

     

    정리해보자면,
    열량은 에너지의 총량,
    열용량은 ‘전체 물체’가 가진 열 보유 능력,
    비열은 ‘물질 1kg’당 가진 고유한 성질,
    비열비는 기체의 압축성과 열역학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네 가지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쓰임새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공조설비, 냉난방 해석, 열원기기 설계 등에서
    정확히 구분하고 공식과 단위를 확실히 알고 있어야 실무에서 오류 없이 설계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무료 다운받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기출문제 바로 다운받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