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설비 소재구의 설치장소

오늘은 배수설비를 설계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구성 요소 중 하나,
소재구(Clean-out)의 설치장소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소재구는 평소에는 눈에 띄지 않지만,
막힘이나 역류 등 긴급 상황에서 내부 점검과 청소를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설비입니다.
특히 지하 매립 배관이나 벽 내 배관처럼 접근이 어려운 구간에서는
설계단계에서 소재구를 정확히 반영해두지 않으면 유지관리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소재구란?
소재구(Clean-out)는
배수관 내부를 청소하거나 검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개방부를 말합니다.
말 그대로, 막혔을 때 ‘뚫을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두는 장치입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보자면 소재구는 마치
배수 배관 속 ‘비상구’이자 ‘정비용 뚜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막힘·이물질 축적·슬러지 문제 발생 시 이 소재구를 통해
스프링, 고압수, 내시경 카메라 등을 투입해 점검하거나 청소합니다.
KDS 31 60 00 (배수설비 기준) 및 관련 해설서 기준
소재구는 다음의 경우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장소 | 설치 이유 |
| 수평배수관의 직선 구간 30m 이상 | 장거리 배관에서 막힘 가능성 증가 |
| 수평배수관이 방향을 전환하는 곳 (90도 굴곡 등) | 이물질이 고이기 쉬운 구간 |
| 지하매립 배관의 양 끝 | 점검이 불가능한 구조를 보완하기 위해 |
| 벽 내 배관 상부 또는 세대 내 화장실 벽면 | 고층 주거시설에서 유지관리 용이성 확보 |
| 기계실, EPS, 공용부의 주배관 인입부 | 수직관 연결 지점에 정체 가능성 높음 |
| 트랩 전단 또는 집수정 유입부 | 이물질 유입이 집중되는 지점 |
소재구 설치 시 유의사항
소재구 설치 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점검 가능 위치에 배치할 것
벽체나 바닥을 모두 철거하지 않고도 접근 가능한 위치에 설치해야 함
(예 : 세면대 밑, 욕실 점검구 내, EPS 룸 등) - 뚜껑의 기밀성과 내구성 확보
악취 역류 방지, 반복 열림에 따른 손상 방지를 위한 재질 선택 필요
(PVC, 스테인리스, 황동 등 사용) - 미관 고려 시 매립형 소재구 또는 점검구 형태 채택
고급 공동주택, 상업시설에서는 벽 마감과 조화를 이루는 방식으로 처리
설치 예시 (실무 기준)
- 복도 벽을 따라 배치된 위생배관에는 각 1개층마다 소재구를 EPS실 내 설치
- 지하주차장 슬래브 매립 배관은 20~25m 간격마다 소재구 또는 맨홀과 연계 설치
- 다가구주택이나 빌라의 화장실 배관은 욕실 벽 타일 내 매립형 소재구를 포함하는 설계가 일반적
마무리
정리해보자면,
소재구는 배수관의 긴급 상황 대응 및 유지보수의 핵심 통로이며,
설계단계에서 놓치면 시공 후 보수가 어렵고, 막힘 시 비용과 시간이 크게 증가합니다.
직선 거리 30m 이상, 방향 전환부, 벽 내 배관, 매립부 양끝, 트랩 전단, 주배관 인입부 등
유지관리에 불리한 구간에는 반드시 설치해두는 것이 필수입니다.
관련 컨텐츠 - 서브노트 & 기출문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총집합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 (25년 3월 업뎃)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용어 서브노트 모음서브노트 만들고는 싶은데 레퍼런스가 없으신 분들을 위해직접 만들었습니다. 1교시 용어 문제에 대한 서브노트를 만들었구요.(서술문제는 각자 알아서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보러가기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126회~135회)
건축기계설비기술사 3개년 기출문제 모음기술사 시험 합격에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백지에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아래의 3개년 기술사 기출문제를 보시고본인이 과연 어느
engineering-classical.tistory.com